레드햇 오픈시프트 플랫폼으로 PaaS 구축
하이브리드클라우드로 IT 운영 혁신
레드햇이 DGB대구은행의 프라이빗 클라우드 시스템 인프라 구축과 클라우드 전환 로드맵을 지원한다고 발표했다. 대구은행은 레드햇과의 협업으로 서비스형 플랫폼(PaaS) 시스템을 구축하고 단계적인 디지털전환을 실현할 예정이다.
기존 IT인프라의 현대화를 통해 확장성과 민첩성을 확보해 급변하는 디지털 환경에 민첩하게 대응할 수 있는 IT역량 확보가 이번 클라우드 전환의 목적이다.
이를 위해 대구은행은 먼저 레드햇 컨설팅과 함께 은행의 인프라 혁신에 대한 니즈를 파악하고, 이를 토대로 레드햇은 애플리케이션 분석, PaaS 인프라 구축, 새롭게 생성될 아키텍처 설계 등 클라우드 전환 과정을 엔드투엔드로 지원했다고 설명했다.
레드햇 오픈시프트 플랫폼 플러스는 애플리케이션을 규모에 맞춰 빌드·현대화·배포할 수 있는 통합 플랫폼으로 멀티클러스터 보안, 컴플라이언스, 애플리케이션 및 데이터 관리 기능이 인프라 전반에 영향을 미치며 소프트웨어 공급망 전체에서 일관성을 제공한다는 게 레드햇의 설명이다.
대구은행은 첫 번째 프라이빗클라우드 인프라로 레드햇 오픈시프트 플랫폼 플러스를 채택한 데 대해 중장기적 클라우드 전환 전략을 위해 혁신성과 운영 안정성이 검증된 솔루션을 선택했다고 설명했다.
10월부터 시작된 파일럿 프로젝트를 통해 3개의 정보계성 업무와 생활형플랫폼 앱 ‘아임샵(IM#)’의 클라우드 환경 전환을 준비하고 있는 대구은행은 레드햇 오픈시프트 플랫폼 플러스를 통해 애플리케이션 배포 시간을 단축하고 변화 요건에 유연하게 대처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고 설명했다.
이상근 대구은행 ICT그룹 부행장은 ”레드햇과의 프로젝트는 지방은행 최초로 PaaS 시스템을 구축한다는 점에서 의미가 남다르다. 이번 프로젝트를 시작으로 클라우드네이티브 환경으로의 전환을 통해 안정적이고 유연한 고객 중심 서비스를 제공하는 금융권 IT선두주자가 되기를 기대한다”고 말했다.
김경상 한국레드햇 사장은 “오픈소스와 하이브리드클라우드는 금융 서비스가 만들어지고 제공되는 방식을 탈바꿈하고 있다”며 “양사 간 협업으로 일궈내는 클라우드와 오픈소스 기술의 혁신이 대구은행의 고객에게 나은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
대구은행과 레드햇은 파일럿 프로젝트를 마무리한 이후 PaaS 시스템 확장 등 클라우드 시스템 전환을 위한 본 프로젝트에 착수해 안정적인 개발환경과 인프라 운영 역량 확보를 위해 협업을 이어갈 예정이다.
관련기사
- KB국민은행, 경영진 책무구조도 마련…내부통제 혁신 착수
- IBK기업은행, 상반기 부실채권 6천억원 매각 추진…건전성 '비상'
- 우리은행, 中企 성장지원 투자 공모…혁신 스타트업에 100억원 투자
- 하나은행, AI 기반 정책자금 맞춤조회 서비스 오픈
- 기업은행, 2024년 상반기 ‘IBK창공’ 혁신기업 육성 킥오프
- 이스트소프트, DGB대구은행과 AI 은행원 ‘한아름’ 공개
- HPE, “하이브리드클라우드 기반 비즈니스 혁신 가속화 지원할 것”
- 레드햇, 엔터프라이즈 리눅스 ‘RHEL 9.3’ 공개
- 알리바바클라우드, 생성AI 확산 가속화…신규 서비스 공개
- 삼성SDS, 레드햇·IBM과 맞손…“SCP 환경서 오픈시프트 제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