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IDC, 매니지드 클라우드 서비스 시장 보고서 발표
향후 5년간 연평균 14.4% 성장 전망
지난해 국내 매니지드 클라우드 서비스 시장 규모가 1조원을 돌파한 것으로 집계됐다.
한국IDC는 '국내 매니지드 클라우드 서비스 시장 전망‘ 보고서를 내고 이같이 밝혔다. 이 보고서에서 한국IDC는 관련 시장이 향후 5년간 연평균 14.4%의 성장세를 이어갈 것으로 전망했다.
한국IDC가 집계한 지난해 국내 매니지드 클라우드 서비스 시장 규모는 1조1억원으로, 이는 전년대비 19.6% 성장한 수치다.
기업들의 예산 절감과 공공 클라우드 예산 축소 추세 등의 악재가 시장에 존재했지만, 매니지드 클라우드 서비스 시장은 이러한 악재들에 영향을 덜 받으면서 견고한 성장세를 이뤄낸 것이다.
매니지드 클라우드 서비스 시장의 성장 동력은 클라우드다. IT 중심이 클라우드로 이동함에 따라 IaaS는 물론 SaaS/PaaS 도입이 확대되고, 매니지드 클라우드 서비스 범위가 기업 IT 전반, 애플리케이션 단위, 데이터, 인공지능(AI) 모델 관리까지 확장되면서 성장 동력을 확보한 것이다.
클라우드 형태별로 모켵, 매니지드 퍼블릭클라우드 서비스 부문은 퍼블릭 워크로드가 증가하는 가운데 멀티클라우드로 분산이 빠르게 진행되는 추세라고 한국IDC는 분석했다. 특히 IT환경 표준화, 포괄적 운영에 초점을 둔 관리에 기업들의 요구가 두드러지게 나타나고 있다는 설명이다.
매니지드 프라이빗 클라우드 서비스 부문에서는 퍼블릭과 같은 민첩성과 높은 혁신성을 요구하면서 표준화된 프라이빗클라우드 인프라상에서 손쉽게 퍼블릭과 통합해 서로 기능을 보완하며, 리소스 관리도 단순화할 수 있는 매니지드 서비스에 대한 수요가 증가하는 모습이다.
하이브리드 부문에서는 인프라와 애플리케이션에 걸쳐 업데이트 빈도·가용성·배포시간 등 라이프사이클 측면에서의 관리를 점점 더 요구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나아가 한국IDC는 국내 매니지드 클라우드 서비스 시장 향후 5년간 연평균 14.4% 성장해 2027년 1조6407억원 규모를 형성할 것으로 전망했다.
특히 시장 성숙도가 높아지면서 서비스 사업자들의 역할도 더욱 확대되고, 클라우드 도입으로 인해 기존 시스템 통합, 애플리케이션 개발과 같은 프로페셔널 서비스에 대한 수요가 감소하면서 클라우드 매니지드 서비스 사업자가 레거시와 클라우드 전반을 아우르는 기업 IT환경의 관리·운영의 핵심 사업자로 부상하는 역할 변화가 예상된다.
한국IDC 김경민 이사는 "국내 매니지드 클라우드 서비스 시장은 앞으로 퍼블릭 클라우드 증가, 멀티/하이브리드 확장, 자동화 기반의 통합 관리, AI/ML을 활용한 프로세스 자동화, 비용, 클라우드별 기술 최적화 등에 대한 요구가 확대될 것"이라며, "변화에 맞춰 사업자들의 역량 제고에 대한 압박이 증가하고 그 과정에서 경쟁 구도의 변화도 가시화되고 있다"고 말했다.
관련기사
- “데이터 기반, AI 혁신 드라이브”…효성인포메이션, DX 리딩기업 위상 굳힌다
- [인사] 인성정보, 신임 사업 총괄로 조정재 사장 영입
- 인성정보, IT매니지드 서비스 전담 사업부 신설
- 시큐아이, 클라우드 보안 서비스 시장 공략 강화
- 에스넷시스템, ‘시스코 프리미어 프로바이더’ 자격 획득
- 클라이온, 네이버 ‘프리미엄’ 파트너 등급 획득
- 파수, 中企 보안 관리 툴 ‘파수 매니지드’ 서비스 론칭
- 한국양성평등교육진흥원, 행안부·NIA 클라우드 전환 성공사례 선정
- 한국IDC, 아태지역 ESG 10대 이슈 발표…“지속가능성 논의 공론화” 전망
- 클라우드 인프라 서비스 시장, 올해도 20%대 성장세 이어갈 듯