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말까지 AI 통합 플랫폼 도입으로 효율성 제고
LG에너지솔루션(LG엔솔)이 업무 전반에 생성AI 기술 도입에 나선다. 고객 니즈를 빠르게 확인하고 업무효율성 극대화를 위함이다.
14일 LG엔솔에 따르면, 가장 먼저 업무에 AI기술을 도입한 건 ‘유튜브 트렌드 리포트’다. 유튜브는 시장 트렌드를 빠르게 반영하지만 정보가 방대하고 콘텐츠별 정확성·객관성 정도의 차이가 커 일일이 확인하는 데 어려움이 있었다.
유튜브 트렌드 리포트는 AI가 유튜브 영상을 분석해 배터리 관련 분야 최신 트렌드 내용을 정리해 임직원에게 메일로 전달해준다. ‘전기차’, ‘EV정책’ 등 핵심 키워드 별로 최신 유튜브 영상의 주요 내용이 요약되고 관련 영상 정보가 첨부되는 형태다.
LG엔솔은 “트렌드를 빠르게 파악해야 하는 마케팅 부서부터 원자재 관련 부서까지 현재 수백여 명의 LG엔솔 직원들이 이 메일을 받아보고 있다. 도입 초기부터 주요 원재료 공급망 관리에 있어서 눈에 띄는 효과가 나타났다”고 설명했다.
생성AI의 대표적인 기술인 대화형 챗봇도 활용 단계에 들어갔다. 올해 채용된 신입·경력사원을 대상으로 AI가 HR제도에 대해 답해주는 파일럿 시스템을 오픈했다.
사내 HR제도를 학습한 AI가 “올해 권장 휴무일은 언제인가요?” “휴가 신청은 어디서 하나요?” 등의 질문을 올리면 챗봇이 실시간으로 대답해주는 방식이다.
LG엔솔은 업무 전반에 AI기술을 도입하는 ‘AI 통합 플랫폼’을 올해까지 구축하고 ▲고객·협력사 계약 관리 ▲전사적자원관리(ERP) ▲소프트웨어 개발 ▲원자재 구매 ▲배터리 제작 등 전체 업무 분야에 AI기술을 접목, 업무효율성과 생산성 향상을 지원한다는 계획이다.
LG엔솔 CDO 이진규 전무는 “AI기술을 통해 빠르게 변화하는 이차전지 시장에서 고객사와 시장 동향에 대한 정보를 자동으로 수집·분석하고 전략 리포트를 생성함으로써 데이터 기반 의사 결정을 내리는 등 디지털전환 가속화로 차별화된 고객가치를 선보이겠다”고 말했다.
관련기사
- LG전자, GE헬스케어·한국MS와 스마트병원 구축 사업 ‘맞손’
- 전기차(EV) 충전기도 등급제 도입…산업부, 개정안 행정예고
- 일론 머스크 “8월 로보택시 공개”…테슬라에 쏠리는 기대와 우려
- LG엔솔 美 애리조나 공장 착공…“생산 능력 53GWh 규모, 2026년 가동 개시”
- 韓日경제단체, 도쿄서 스타트업 포럼…韓 스타트업 일본 진출 지원
- LG엔솔·GM 얼티엄셀즈 2공장 본격 가동…첫 배터리 셀 고객사 양도
- 지난달 수출 565억6000만 달러…6개월 연속 ‘수출 플러스’
- 반도체 산업계가 꼽은 매출 주도 핵심영역은 ‘자동차’
- 中 BYD, “브랜드 이미지 부재…글로벌 성장에 한계 직면”
- 엔비디아, ‘드라이브 토르’ 차량용 컴퓨터 활용 확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