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통령 소속 국가지식재산위원회가 31일 지식재산 보호 분야 공공기관, 민간협회 등이 참여하는 지식재산 보호 유관기관 협의회를 한국프레스센터에서 개최한다고 밝혔다.
이번 협의회에는 특허·상표·디자인·저작권과 산업기술 등의 보호와 연구를 담당하는 한국지식재산보호원·한국산업기술보호협회·한국지식재산협회·한국지식재산연구원·무역관련지식재산권보호협회·한국저작권보호원 등의 기관이 참석한다.
또 K-팝 등 한류 관련 지식재산권 보호에 힘쓰고 있는 한국식품산업협회·한국패션산업협회·브랜드지식재산권보호협회·한국음악콘텐츠협회·한국소프트웨어저작권협회 등 총 11개 공공기관 및 민간협회가 참여한다.
이번 협의회는 지재권의 침해가 국제화·지능화되면서 이에 대응하기 위해 지식재산 보호 유관기관 간의 공조 및 민관 협력의 필요성이 제기됨에 따른 것이다.
그간 해외 유명브랜드의 위조상품이 국내에서 유통되는 유형의 지식재산권 침해가 문제가 됐으나 최근에는 국내 브랜드의 약진으로 해외에서 국내 브랜드를 모방한 상품의 유통사례와 해외에서 국내기업의 상표권을 침해한 사례 등이 늘고 있다.
특히 알테쉬(알리/테무/쉬인) 등 해외 인터넷 플랫폼에서 급증하고 있는 지식재산권 침해 물품의 유통에 공동으로 대응하기 위해 지식재산 보호 유관기관 간 공조체계를 구축하고 다양한 분야의 지식재산 침해로 인한 피해와 애로사항 등 민간의 의견을 청취할 계획이다.
한국지식재산보호원에서 인터넷 유통플랫폼에서의 IP 침해사례 및 대응방안도 발제할 예정이다.
지재위는 협의회에서 논의된 다양한 의견들을 종합해 문체부와 중기부, 특허청, 관세청 등 각 분야별 지식재산권 보호 주무부처에 전달하고 부처 간 공동대응과 협업이 필요한 사항에 대해서는 지재위 안건으로 상정할 수 있도록 검토할 계획이다.
김지수 국가지식재산위원회 지식재산전략기획단장은 “본격적인 디지털 변혁기에 접어들면서 각 기관의 소관 업무와 관련된 개별적인 대응은 이미 한계에 봉착했다”며 “민관이 유기적으로 협력해 국제화·지능화 되고 있는 지식재산 침해에 입체적으로 대응할 수 있도록 국가지식재산위원회가 적극적으로 지원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관련기사
- 지식재산연, ‘경제·기술 패권시대 대응 전략’ 학술대회 성료
- KT, “미디어·콘텐츠 그룹사 해외 진출 전방위 지원”
- 특허청, EUV 반도체 장비기업 방문 현장소통 간담회
- 후발기업 특허 무임승차 못참아…LG엔솔 “소송 등 강력 대응”
- 특허청·목원대, 지식재산 이론·실무 교육 협력 ‘맞손’
- 디자인 모방 범죄 찾는다…특허청, ‘디자인 침해 단속지원단’ 운영 개시
- 지난해 韓 국제특허출원(PCT) 1.2% 증가…4년 연속 4위 자리 지켰다
- 특허청, EV 충전 인프라 업계와 간담회…정책지원 방향 논의
- 정부, 국가지식재산 사업에 총 9,901억 투자
- 카카오페이지, ‘초신작 프로젝트’ 6월 개시…웹소설 기대작 두 편 공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