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개 동력 사용한 냉각방식 적용, 자체 생산 컴프레서에 신기술 도입
삼성전자가 도입한 하이브리드 냉각 방식의 ‘비스포크 AI 하이브리드’ 냉장고의 전력 소모량이 최고 등급인 1등급 최저 기준보다 30% 가량 개선된 것으로 나타났다.
삼성전자는 20일 미디어 브리핑을 열고 비스포크 AI 하이브리드의 에너지소비효율이 국내 최고 등급인 1등급 최저 기준보다도 30% 더 전기요금을 절약할 수 있다고 밝혔다.
비스포크 AI 하이브리드는 기존 냉장고 냉각 방식이 컴프레서를 단일 동력원으로 사용하던 구조에서 벗어나 국내 최초 반도체 소자 ‘펠티어(peltier)’를 결합한 하이브리드 냉각 방식을 채택한 점이 특징이다.
냉장고는 24시간 전원이 켜져 있어 가정 내 전력 소모가 큰 가전 중 하나로 전기요금 절감에 대한 소비자 니즈가 크다.
삼성전자는 이 니즈를 반영해 컴프레서와 반도체가 함께 구동하며 최적의 효율을 낼 수 있는 새로운 냉각 형태의 냉장고를 개발했다고 설명했다.
비스포크 AI 하이브리드에 채택된 반도체 소자는 다른 두 반도체에 전류를 흘려주면 한쪽 면은 열을 흡수하고 반대편에서는 열을 방출하는 원리를 이용한 것이다.
삼성전자는 신제품 비스포크 AI 하이브리드의 가장 큰 특징으로 AI 하이브리드 쿨링 기능과 AI 절약 모드 알고리즘을 꼽았다.
삼성전자는 “평상시 AI 인버터 컴프레서가 단독 운전하며 에너지 소비량을 유지하지만 무더위로 얼음 소비가 급증하거나 식재료를 대량으로 넣을 때처럼 한 번에 큰 에너지가 필요한 상황이 되면 펠티어 소자가 함께 가동하는 하이브리드 구조”라고 설명했다.
이를 통해 에너지소비효율이 최고 등급인 1등급 최저 기준보다도 30% 더 뛰어나고 이를 전기요금으로 환산하면 1년에 2만8000원을 줄일 수 있다는 게 삼성전자의 설명이다.
스마트싱스의 ‘AI 절약 모드’를 사용하면 머신러닝(ML)으로 구축한 AI 알고리즘이 문 여닫음과 실제 최대 냉각이 필요한 상황을 스스로 판단해 운전을 최적화하는 점도 특징이다.
가령 기존에는 문을 열기만 해도 컴프레서의 운전 속도를 올려 불필요한 에너지를 소비했지만, 비스포크 AI 하이브리드는 AI가 온도 데이터를 근거로 향후 온도를 예측해 필요한 만큼만 운전 속도를 올리는 구조다.
이같은 맞춤형 에너지 절약 기능을 통해 실사용 에너지 소비량을 최대 25%까지 더 줄일 수 있다고 삼성전자는 소개했다.
컴프레서 자체에도 신기술이 적용됐다. 컴프레서의 에너지 효율과 내구성을 동시에 높이기 위해 내부 모터와 볼베어링, 피스톤, 밸브 등 제조공법까지 연구개발·적용해 효율을 높였다.
모터의 회전부인 로터(Rotor)를 안쪽이 아닌 바깥쪽으로 이동시켜 회전 시 관성을 기존보다 4배 가량 증가시켜 운전 중에 발생하는 속도 변동도 최소화했다.
삼성전자는 8월 정기 소프트웨어 업데이트 서비스인 ‘스마트 포워드’의 일환으로 ‘하이브리드 정온’ 기능도 업데이트할 예정이다.
삼성전자 DA사업부 위훈 선행개발팀장은 “비스포크 AI 하이브리드는 AI에 반도체 소자를 결합해 에너지 사용량을 손쉽게 줄일 수 있는 냉장고”라며 “새로운 혁신 기술을 접목해 소비자들의 일상을 더욱 편리하게 하는 다양한 가전을 선보여 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관련기사
- 삼성, 빌트인 가전 브랜드 ‘데이코’ 매장 확대
- 삼성·LG전자, 디스플레이 전시회 ‘인포콤’ 출격…북미 시장서 맞불
- LGU+, 딥엑스 칩에 ‘익시젠’ 접목…온디바이스AI 확산 본격화
- LG전자, 직수형 냉장고 새 브랜드 ‘스템(STEM)’ 론칭
- 가트너, “AI반도체 수요 증가세…올해 33% 성장 전망”
- 삼성, 美레녹스와 합작법인(JV) 설립…북미 공조시장 공략 강화
- LG전자, 100억 달러 인도 에듀테크 시장 ‘정조준’
- 삼성, ‘비스포크 AI 패밀리허브’ 신제품 출시
- SK하이닉스, CEO 직속 ‘코퍼레이트 센터’ 신설
- 삼성, 올인원 세탁건조기 ‘비스포크 AI 콤보’ 신제품 출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