루닛이 스탠포드대 출신 유성원(사진) 박사를 최고기술책임자(CTO)로 영입한다고 2일 밝혔다.
유성원 신임 CTO는 구글·인텔 등 빅테크에서 10년 이상의 풍부한 소프트웨어 개발·관리 경험을 보유했다. 인텔에서는 병렬컴퓨팅 관련 연구를 수행하고, 구글에서는 클라우드 플랫폼의 성능 최적화와 IoT 기기용 안드로이드 운영체제(OS) 프로젝트를 이끌었다.
구글 알파벳의 헬스케어 분야 자회사 ‘베릴리라이프사이언스(Verily Life Sciences)’에서 다년간 근무하며 헬스케어 관련 다양한 소프트웨어 개발 프로젝트를 지휘해왔다.
스탠포드대 의과대학 산하 의료정보학 연구센터와의 협업을 통해 AI를 활용한 의료 데이터 분석 및 모델링을 주도하는 등 융합 전문가로서의 경험을 쌓아왔다.
유 CTO는 서울대학교에서 전기공학 학사 학위를, 미국 조지아공대에서 전기컴퓨터공학 석사를, 스탠포드대에서 전기공학 박사 학위를 받았다. 하버드대 의과대학에서 의료정보학 석사 학위도 취득했다.
유 CTO는 루닛의 기존 AI 알고리즘을 고도화하기 위해 의료 데이터 플랫폼 구축을 가속화하고, 소프트웨어 개발 전문성 및 업무경험을 바탕으로 국내외 우수 엔지니어 인력 추가 확보와 체계적인 조직 육성에도 힘을 쏟을 계획이다.
유 CTO는 “루닛은 글로벌 최상위 의료AI 기술을 실제 의료 현장에 적용하며 가치를 인정받고 있다”며 “글로벌 의료AI 시장을 선도하기 위한 플랫폼 기술 혁신을 가속화하고, 조직 역량 강화에 전력을 다하겠다”고 밝혔다.
서범석 루닛 대표는 “공학과 의학 분야를 아우르는 융합 전문성과 글로벌 빅테크에서 쌓아온 역량을 겸비한 유성원 CTO의 합류로 제품력 강화와 글로벌 판매 확장이 탄력을 받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고 말했다.
관련기사
- AWS, 공공부문 생성AI 임팩트 이니셔티브 발표
- GCP, ‘구글 클라우드 서밋 서울 2024’서 비즈니스 혁신사례 공유
- 딥노이드, 아주대와 의료 데이터 분석 공동연구 추진
- 카카오엔터, 한양대와 디지털 헬스케어 연구개발·인재양성 ‘맞손’
- 내달 미국시장 진출 앞둔 뷰노, 현지 법인 유상증자 결정
- “스마트 배식기에서 펫 보험까지”…PE·VC 투자금 몰리는 반려동물 시장
- 웨이센, ‘웨이메드 엔도’로 아세안 시장 공략
- 루닛, 한-아프리카 ‘ICT 리더십 포럼’서 AI의료 솔루션 시연
- 의료AI·디지털 헬스케어 영역 노리는 사이버공격 ‘주의보’
- 韓 AI헬스케어 시장 연평균 50% 성장…“구체적인 비즈니스 모델 수립할 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