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년 말부터 5년 간 39GWh 공급, EV 59만대 탑재 분량
LG에너지솔루션(LG엔솔)이 전기차(EV)용 리튬인산철(LFP) 배터리 첫 대규모 수주에 성공했다.
LG엔솔은 르노의 전기차 부문 ‘암페어(Ampere)’와 1일(현지시간) 프랑스 파리 소재 르노 본사에서 전기차용 파우치 LFP 배터리 공급계약을 체결했다고 2일 밝혔다.
공급기간은 2025년 말부터 2030년까지 총 5년이며 전체 공급 규모는 약 39GWh다. 이는 순수 전기차 약 59만대를 생산할 수 있는 양이다.
배터리는 LG엔솔 폴란드 브로츠와프 공장에서 생산되며 르노의 차세대 전기차 모델에 탑재될 예정이다. 국내 업체 중 차량용 LFP 배터리 공급계약을 체결한 곳은 LG엔솔이 처음이다.
LG엔솔은 “이번 LFP 배터리 수주는 글로벌 자동차 3대 시장 중 하나인 유럽에서 중국 기업의 주력 제품군을 뚫었다는 데 의미가 있다”며 “중국 배터리 기업들이 저렴한 가격을 무기로 유럽 시장에서 영향력 강화에 나서는 가운데 이번 계약으로 기술과 품질 경쟁력은 물론 가격 경쟁력도 입증함으로써 LG엔솔만의 차별적 고객가치 역량이 증명됐다”고 전했다.
LFP 배터리는 상대적으로 저렴한 철과 인산을 사용하고 안정적인 화학구조를 가지고 있어 가격 경쟁력과 안전성이 우수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관련 시장이 확대되고 보급형 전기차 수요도 늘면서 LFP 배터리 수요도 함께 증가하고 있다.
이번 LG엔솔의 르노향 LFP 배터리는 파우치 배터리 최초로 셀투팩(CTP) 공정 솔루션을 적용한다. CTP 공정은 모듈공정을 거치지 않고 배터리 팩을 조립하는 공정 기술로 최근 전기차 배터리 시장에서 주목하고 있는 첨단 팩 디자인 기술이다.
기존의 배터리 구성에서 모듈 단계를 제거하고 팩에 직접 배터리 셀을 조립해 무게를 줄이고 모듈 공간만큼 더 많은 셀을 탑재할 수 있어 공간 내 에너지 밀도를 높일 수 있다. LG엔솔이 개발한 파우치 CTP는 각형 CTP에 비해 무게당 에너지 밀도를 약 5% 수준으로 높게 설계할 수 있다.
안전성도 강화됐다. 검증된 열 전이 방지기술을 적용해 안전성도 높였고 전체 팩을 구성하는 부품을 줄여 공정을 단순화하면서 제조원가도 절감해 가격 경쟁력도 높일 수 있을 것으로 LG엔솔은 기대했다.
LG엔솔은 “파우치 배터리 분야에서 하이니켈 NCMA 등 프리미엄 제품부터 고전압 미드니켈(Mid-Ni) NCM, LFP 배터리 등 중저가형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제품 포트폴리오를 갖추게 됐다”고 설명했다.
LG엔솔 CEO 김동명 사장은 “유럽의 가장 오래된 고객사인 르노와의 이번 계약으로 LG엔솔만의 독보적인 제품 경쟁력과 차별화된 고객가치를 다시 인정받았다”며 “치열한 격전지인 유럽 공략을 필두로 글로벌 LFP 배터리 수주를 본격화하고 검증된 현지 공급능력과 독보적인 제품 포트폴리오를 통해 최고 수준의 고객가치를 제공해 나가겠다”고 밝혔다.
관련기사
- 현대모비스, “최근 3년간 3천건 특허출원…950여건은 친환경차 분야”
- SK온, 美엑손모빌과 리튬 공급망 확대 ‘맞손’
- LG전자, 美차지포인트와 전기차(EV) 충전사업 ‘맞손’
- 테슬라 주행보조SW FSD, 中상하이서 테스트 승인…중국시장 ‘청신호’
- LG엔솔, ADI와 BMIC 공급계약 체결…“BMTS 고도화로 경쟁력 제고”
- LG전자 ‘웹OS’, 기아 전기차 EV3에 적용된다
- 글로벌 전기차(EV) 판매량 증가세…“BEV 판매 저조, PHEV 판매 호조”
- 韓·中·日 기업 “3국 간 관계 개선 필요” 인식…이유에서는 온도차
- LG화학, 차량용 SGF 필름 시장 진출…獨 베바스토와 수주계약 체결
- ‘3거래일 연속 상승세’ 테슬라…주가 올 초 수준으로 회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