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PMG 보고서, 희귀의약품 시장 연평균 10.8% 성장세
종양학·희귀질환 분야 바이오테크 기업에 거래 집중

[사진=게티이미지]
[사진=게티이미지]

글로벌 빅파마가 지난해 하반기부터 종양학과 희귀질환, 비만 분야의 인수합병 추진을 본격화한 가운데 바이오테크 기업은 원천기술 개발, 시판 허가 등 밸류체인 단계별 비즈니스 확장을 포함해 다양한 전략 마련이 필요하다는 주장이 나왔다.

8일 삼정KPMG가 발간한 보고서(빅파마 M&A 트렌드로 본 바이오테크 기업의 비즈니스 기회)에 따르면, 글로벌 제약·바이오 인수합병(M&A) 거래 규모는 2019년부터 2023년까지 9,632억달러에 달한다.

최근 5년간 390개 이상의 투자자 가운데 10개의 제약·바이오 기업이 전체 거래금액의 57.7%를 성사시켰다.

동기간 빅파마 M&A 동향을 보면, 종양학과 희귀질환 분야의 바이오테크 기업에 대규모 거래가 집중된 것으로 확인된다.

종양학 분야의 경우 2019년 BMS가 셀진을 인수한 거래가 최근 5년 내 메가딜 중에서도 가장 큰 규모다. 화이자가 2023년 총 거래금액의 25% 비중으로 시젠을 인수하며 또 한번 빅딜이 성사됐다.

2023년 글로벌 희귀의약품 시장규모는 2,068억달러를 기록했고 연평균 10.8%의 성장세로 2028년 3,459억달러까지 증가할 것으로 전망된다. 

빅파마는 희귀질환 시장 선점을 위해 혁신 신약을 포함한 FDA 승인 제품 등 상업화 단계의 바이오테크 기업에 투자하고 있으며 상업화 단계 뿐만 아니라 임상 후보물질부터 플랫폼 기술까지 희귀질환 전 영역의 바이오테크 기업에 대한 투자가 진행되고 있다.

보고서는 “빅파마는 ADC(Antibody Drug Conjugate, 항체-약물 접합체) 기반의 신성장 동력을 확보하며 매출 구조 다변화를 추진 중”이라며 “시젠, 이뮤노젠 등 시장점유율에서 경쟁 우위를 점할 수 있는 수익모델 중심의 바이오테크 기업을 향한 투자가 이뤄지고 있다”고 진단했다.

비만·당뇨병 치료제를 포함한 대사질환 치료제 시장의 높은 성장세가 예상됨에 따라, 빅파마는 M&A를 통해 기존 파이프라인을 강화하거나 신규 시장에 진입하고 있는데, 특히 비만 치료제 부상에 따른 GLP-1 기반의 경쟁구도가 형성되면서 대사질환 관련 바이오테크 기업에 대한 투자가 늘어날 것으로 보고서는 전망했다.

보고서는 바이오테크 기업의 비즈니스 기회가 확대되면서 밸류체인 단계별 대응 전략으로, 기초물질 탐색 및 기술개발 단계에서는 기존 의약품이나 신규 타깃에 적용해 다수의 신약 후보물질을 도출할 수 있는 플랫폼 기술에 대한 수요가 확대되고 있는 추세이므로, 바이오테크 기업은 질환별 차별화된 플랫폼 기술에 주목해야 한다고 조언했다.

플랫폼 기술은 신약 개발 단계에서 파이프라인 확장성이 크고 이미 유효성이 검증된 기술의 경우 임상 진입을 가속화할 수 있기 때문이다.

[삼정KPMG 보고서인용]
[삼정KPMG 보고서인용]

임상 초기 단계에서는 유효성 데이터를 확보한 후보물질의 시장가치가 확대되면서 임상 후보물질을 보유한 바이오테크 기업이 대사질환이나 희귀질환 분야에서 각광받고 있다.

비록 상업적인 성과가 가시화되기 전이지만, 임상 1상 혹은 2상 단계에서 특정 후보물질에 대한 글로벌 임상 실적 기반의 유의미한 데이터를 축적한다면 글로벌 기업과의 비즈니스 기회가 확대될 가능성이 높다.

한편 2023년 임상 3상 및 상업화 단계의 인수가 약 60% 이상을 차지한 것으로 나타나며, 글로벌 제약·바이오 기업들 사이에서는 리스크를 낮출 뿐만 아니라 단기간에 성과를 도출할 수 있는 기업을 인수하는 경향을 보였다.

빅파마의 기업가치를 뛰어넘는 ‘빅 바이오테크’ 기업의 등장으로 볼트온 거래가 늘면서 수익모델 창출이 가능한 파이프라인을 보유한 바이오테크 기업이 부상한 가운데, 신약 개발 후기 단계에 진입한 바이오테크 기업도 비즈니스 모델로 성공 확률을 높이기 위해 개발, 자금 조달 등 전반적인 리스크 완화를 위한 전략이 필요하다고 보고서는 짚었다.

삼정KPMG 재무자문부문 고병준 파트너는 “글로벌 제약·바이오 투자시장에서 희귀의약품, ADC, 비만 치료제 분야의 투자가 활발한 상황”이며 “바이오테크 기업은 기초물질 탐색 및 원천기술 개발부터 시판 허가에 이르기까지 밸류체인 단계별로 비즈니스를 확대하고 경쟁력을 높일 수 있는 다양한 전략을 펼칠 필요가 있다”고 밝혔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ITBizNew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