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스플레이 비즈니스 포럼 2024’서 기조연설
LG디스플레이(LGD) 윤수영 최고기술책임자(CTO)가 “인공지능(AI)이 디스플레이 디자인, 제조공정에 혁명을 견인하고 있다”며 관련 산업계 발전을 위한 기업, 정부 등 각 기관의 유기적인 협력을 강조했다.
LGD 윤수영 CTO(부사장)는 13일 서울 코엑스에서 개막한 ‘디스플레이 비즈니스 포럼 2024’에서 ‘디스플레이 산업의 새로운 기회’를 주제로 기조연설자로 나서 이같이 밝혔다.
올해 3회째를 맞은 이 행사는 한국디스플레이산업협회가 주최하는 국내 최대 규모의 디스플레이 전문 포럼이다.
윤 CTO는 먼저 음극선관(CRT)부터 OLED에 이르기까지 디스플레이 기술 발전 과정을 소개한 후 “고화질, 높은 명암비 및 유연한 디자인 등을 갖춘 OLED의 등장이 일상을 변화시키고 있다”며 “이러한 강점을 기반으로 OLED가 모바일·TV를 거쳐 IT·자동차 산업에서 지속성장할 것”이라고 전망했다.
또 “올해는 IT용 OLED 시장이 본격적으로 시작되는 원년”이라며 “태블릿PC를 시작으로 노트북에도 OLED 채택이 급격히 증가하고 있다”고 말했다.
LGD의 OLED 연구개발 방향성을 공유했다. 윤 CTO는 “TV 분야는 기존 대비 휘도와 효율이 향상된 WOLED 기술을, IT 분야는 온디바이스AI 기기에 최적화된 저소비전력 기술에 중점을 두고 있다”며 “차량용 디스플레이는 곡면·슬라이더블·롤러블 등 자유로운 형태 구현을 목표로 개발 중”이라고 설명했다.
윤 CTO는 OLED 시대의 가속화를 위해 AI 기반 디지털전환(DX)의 중요성을 강조했다.
그는 “AI는 디스플레이 디자인에 혁신을 가져오고 있다”라며 “효율적이고 정교한 설계를 가능하게 하며, 가상 시뮬레이션을 통해 설계 단계에서부터 문제를 사전에 방지할 수 있는 등 디자인 최적화를 이뤄낸다”고 말했다.
또 “AI를 활용한 디지털전환은 제조 공정에도 혁신을 가져오고 있다”며 “AI 기반 실시간 모니터링 시스템을 통해 생산 공정의 즉각적 관리 및 수율 향상 등 제조 효율성과 경쟁력을 높이는 데 기여할 수 있을 것”이라고 강조했다.
윤 CTO는 “인체 친화적이며 환경까지 고려한 OLED를 지속 발전시키기 위해서는 기업과 정부, 연구소·학계 등 각 기관의 유기적인 협업이 필요하며 이는 OLED 시장의 지속 가능한 발전을 도모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할 것”이라고 말했다.
관련기사
- ETRI, 디스플레이혁신공정센터에 공정기술 전수
- 국내 연구진, 양자점 도장으로 초고해상도·고효율 발광소자 개발
- 7월 수출, 10개월 연속 성장 달성
- 과기정통부, 글로벌리더·선도연구센터 최종 선정·발표
- ETRI, 고해상도 디스플레이 구현 ‘p형 반도체’ 소재 개발
- LGD OLED TV패널, ‘인체친화 디스플레이’ 입증
- 반도체가 견인…올해 상반기 ICT 수출 28.2% 증가
- 산업부, iLED 산업 육성 얼라이언스 회의…4,840억원 R&D 계획 논의
- LGD, 13인치 탠덤 OLED 패널 양산 돌입
- OLED 발광재료 수요 증가세…2028년까지 연평균 7.9% 성장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