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소벤처기업부가 ‘AI 헬스케어 중소벤처기업 육성을 위한 정책토론회’를 개최했다. 이번 토론회는 강원 AI 헬스케어 글로벌 혁신특구와 초격차 AI스타트업 레벨업 전략 추진의 일환으로 관련 기업의 육성 전략을 모색하는 자리로 마련됐다.
AI 헬스케어는 AI를 활용하는 산업 중 가장 빠르게 성장하는 분야 중 하나로 실시간 진단 및 수술 보조, 디지털 치료제, 유전체 분석, 신약 개발 등으로 범위가 확대되고 있다.
ICT와 바이오 분야의 우수 인재가 많은 우리나라의 새로운 성장동력이 될 것으로 기대되는 만큼 적극적이고 실효성 있는 지원이 요구되는 상황이다.
중기부는 지난 5월 강원도를 AI 헬스케어 글로벌 혁신특구로 지정해 기업들이 규제의 제약에서 벗어나 경쟁력 있는 제품을 개발하고 글로벌 인증기관과 협업해 신속한 해외 진출이 가능하도록 지원하고 있다.
7월에는 초격차 AI스타트업 레벨업 전략을 발표해 AI 헬스케어를 AI 스타트업의 고성장 5대 분야 중 하나로 지정해 지원을 강화하기로 했다.
강원 AI헬스케어 글로벌 혁신특구에서는 중기부와 TUV라인란드가 체결한 협약을 바탕으로 AI의료기기 개발 단계부터 성능검증과 시험검사 전반에 걸친 기술자문, 사전검토, 신속인증 등을 지원하고 기기 신뢰성 확보와 유럽연합(EU) 규제 대응을 위한 양국 전문가들의 교류협력도 추진하기로 했다.
4일 오후 서울 양재 엘타워 멜론홀에서 열린 토론회에서는 산·학·연·병 전문가가 AI 헬스케어 기업을 위한 맞춤형 지원정책 설계에 대한 패널토론을 열고, 한국 AI 헬스케어 기업의 역량 진단과 국내 규제의 방향을 제시하고 미국과 유럽의 기술과 규제 동향을 공유했다.
토론자로 참여한 김한수 이화의료원 목동병원장은 수요자 관점에서 병원 내 AI 헬스케어 기술 도입의 필요성, 임상 제공자로서의 병원의 역할과 이화의료원이 기업들과 협력해 이룬 그간 성과와 계획 등을 소개하며 “이같은 협력을 더 촉진하기 위해서는 병원의 자율성을 제고해야 한다”고 제안했다.
임정욱 창업벤처혁신실장은 “AI 헬스케어 기업 육성을 위해서는 자금지원과 함께 기술 효과성·안전성 입증을 위한 실증·인증지원, 신속한 관련 법·제도 개선 등 다방면의 지원이 필요하다”며 “기업들과 다양한 분야의 전문가들의 의견을 듣고 적극 반영해 정책을 설계하겠다”고 밝혔다.
관련기사
- 네이버D2SF, AI스타트업 클레이디스·예스플리즈에 신규 투자 단행
- 구글·부산시, ‘AI 스타트업 스쿨’ 스타트…부·울·경 스타트업 생태계 활성화 협력
- 올해 상반기 창업기업 62만여개…정보통신업 창업 10.3% 감소
- 주베트남 中企 지원 원팀 협의체…시장 진출·정착 지원안 논의
- 중기부, 지역혁신 선도기업 육성사업 예타 조사 면제
- 올해 상반기 국내 벤처투자액 전년비 19.3% 증가
- [데스크칼럼] 팁스(TIPS) 예산지급 지연 사태…문제의 핵심은 무엇인가
- LGD OLED TV패널, ‘인체친화 디스플레이’ 입증
- 중기부, 獨TUV라인란드와 MOU…中企 유럽 AI의료기기 시장 진출 지원
- KT, AI 정신건강 플랫폼 사업 본격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