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글코리아, 국내 스타트업 설문조사 결과 발표
해외 진출·AI로 돌파구 모색
구글이 ‘창구 프로그램’에 참여했던 스타트업 대표를 대상으로 진행한 설문조사 결과를 공유하고 국내 스타트업들은 투자시장 위축과 경기불황에 대해 강한 불안감을 표시했다고 전했다.
창구는 구글이 중소벤처기업부, 창업진흥원과 함께 진행하는 스타트업 지원 프로그램으로, 창구 프로그램에 참여했던 100인의 스타트업 대표들을 대상으로 최근 진행한 설문조사 결과, 42.7%가 현재 국내스타트업 생태계에 대해 부정적(매우 부정적 8.7%, 부정적 34%) 인식을 나타냈다.
이는 보통(33%)이나 긍정적(긍정적 21.4%, 매우 긍정적 2.9%) 인식을 크게 상회하는 결과다.
국내 스타트업 생태계에 대한 부정적 인식은 투자시장 위축(75.8%)과 경기 불황(70.5%)에 기인하는 것으로 분석된다. 이에 더해 정부 지원 정책 부족(32.6%), 인재 확보 어려움(26.3%), 규제와 법적 제약(14.7%) 등도 스타트업 성장을 가로막는 걸림돌로 나타났다.
이러한 상황에서 스타트업들은 해외 시장을 돌파구로 기대했다. 이미 많은 스타트업들이 이미 해외시장에 진출(37.9%)했거나, 진출 준비(52.4%) 단계로, 해외시장을 통해 성장을 이어갈 전략을 밝혔다. 목표 시장은 북미권(73.7%), 동남아시아(66.7%), 일본(62.6%) 등으로 조사됐다.
해외 진출의 애로사항으로는 비즈니스 네트워크, 파트너십 확보(62.6%), 현지 시장 정보 파악(59.8%), 해외 자금 확보(42.4%) 등에 대한 응답이 높았다.
또다른 기회 요소로 인공지능(AI) 기술 활용에 대한 기대도 높게 나타났다. 47.6%의 스타트업이 AI 기술을 앱이나 게임 개발에 활용하고 있으며, 41.7%는 가까운 시일 내에 이를 도입할 계획을 갖고 있다고 응답한 것이다.
하지만, 스타트업들은 AI 전문인력 부족(58.2%), 기술적 복잡성(46.9%), 높은 초기 투자 비용(41.8%) 등으로 인한 어려움도 동시에 나타냈다.
국내 스타트업 생태계를 긍정적으로 평가하는 요인으로는 다양한 지원 프로그램 (70.4%)과 해외시장 진출 기회(56.3%) 등이 언급됐으며, 생태계 네트워크의 확장(22.5%)와 엑시트 사례 증가(7%)도 긍정적 요인으로 지목됐다.
관련기사
- 정부, 국내 벤처투자 규모 2027년까지 16조원으로 확대한다
- [데스크칼럼] 내년도 스타트업 지원 정책, 실효성은 얼마나
- 대·중견기업-스타트업 ‘개방형 혁신 과제’ 공동수행 협력
- [데스크칼럼] 스타트업위원회 출범과 배경…그리고 숙제
- 8,400억원 규모 스타트업코리아펀드에 19개 민간 출자자 참여
- 하이퍼클로바X 기반 AI서비스 나온다…네이버클라우드, AI스타트업 지원
- ‘AI 거품’ 불안감에도 관련 스타트업에 투자금 쏠림 현상…이유는?
- 구글·부산시, ‘AI 스타트업 스쿨’ 스타트…부·울·경 스타트업 생태계 활성화 협력
- 구글, ‘구글 포 스타트업 액셀러레이터:AI 퍼스트’ 데모데이 성료
- 중기부, 구글플레이 등 11개 기업과 스타트업 305개사 성장 지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