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일 출범 후 첫 비전 공유회, 4대 중장기 전략 공개
Non-EV 사업 확대, 전고체·건식전극 등 기술 리더십 강화
LG에너지솔루션(LG엔솔)이 새로운 기업 비전을 공개했다. 전기차(EV) 사업과 함께 에너지저장장치(ESS)·도심항공교통(UAM) 등 비전기차 사업 포트폴리오를 강화하고 전고체·건식전극 공정 등 차세대 기술 리더십 확보로 5년 내 매출 2배 이상 성장을 목표로 내걸었다.
7일 LG엔솔은 서울 마곡 LG사이언스파크에서 전사 구성원 대상 비전 공유회를 열고 ‘에너지로 세상을 깨우다(Empower Every Possibility’라는 새로운 비전을 공개했다. 2020년 말 공식 출범한 LG엔솔이 기업 비전을 발표한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이날 비전 공유회는 CEO 김동명 사장 및 각 사업부 경영진, 300여명의 구성원이 직접 참석한 가운데 온라인으로 생중계됐다.
공개된 비전에는 “사업의 본질은 단순히 배터리를 제조하는 데 있는 게 아니라 에너지를 저장하고 이동시키는 모든 에너지 순환에 있으며, 에너지 순환 생태계의 중심에 서서 무궁무진한 비즈니스의 기회를 열어가겠다는 뜻을 담았다”고 LG엔솔은 설명했다.
김동명 사장은 “비전은 지속성장을 가능하게 하는 LG엔솔의 궁극적 지향점을 담고 있다”라며 “잠재돼 있는 모든 힘을 깨우는 에너지로 사업을 확장함으로써 회사와 구성원들이 무한한 성장의 가능성을 발휘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라고 말했다.
LG엔솔은 2028년까지 2023년(33조7455억원) 대비 매출을 2배 이상 달성을 내세웠다. 김동명 사장은 “5년 내, 2028년까지 매출을 2배 이상 확대하고 인플레이션 감축법(IRA) 세액 공제(Tax Credit)를 제외하고서도 10% 중반의 EBITDA를 달성하며 기업가치로 인정받겠다”고 강조했다.
이를 위한 중장기 전략으로 ▲ESS·UAM 등 Non-EV 사업 확대로 균형 있는 사업 포트폴리오 구축 ▲LFP·미드니켈·46-시리즈 등 제품·고객 포트폴리오 다양화 ▲BaaS·EaaS 등 소프트웨어·서비스 영역 사업 기반 확보 ▲전고체·건식전극 공정 등 차세대 전지 기술리더십 강화를 추진해 나갈 것이라고 밝혔다.
구체적으로 EV 사업의 의존도를 낮추고 ESS 사업 비중을 지속 높이면서 Non-EV 사업을 적극 확대해 균형 있는 사업 포트폴리오를 구축할 계획임을 강조했다.
UAM, 선박, 로봇 등 성장 잠재력이 높고 신사업의 기회가 많은 신규 애플리케이션 사업에도 투입 역량을 확대해 시장의 변화에도 부침이 없는 탄탄한 사업 구조를 만들어 나간다는 계획이다.
제품·고객 다변화에도 집중한다. 하이니켈 중심의 프리미엄 배터리를 넘어 LFP와 LMFP, 고전압 미드니켈 등 중저가형 시장에서도 경쟁력을 다지고, 원통형에서는 46-시리즈를 통해 전통 완성차 업체까지 고객의 포트폴리오를 확대하는 내용을 담았다.
소프트웨어·서비스 영역 사업 확대로 탄탄한 매출 구조를 만들고 시장을 혁신할 차세대 전지 기술 리더십 확보에도 집중하기로 했다.
전고체 전지의 경우 리튬 음극을 뺀 ‘무음극’ 제품 및 ‘흑연계’ 음극 제품 생산으로 시장을 선도할 예정이며 ‘바이폴라’ 반고체 전지 및 황·소듐을 적용한 저가 고출력 제품, 리튬금속을 활용한 항공용 경량 제품도 양산을 가속화할 계획이다.
◆자동차·소형·ESS 등 각 사업부 ‘선택과 집중’ 주력
자동차전지사업부는 북미에서의 확고한 1등 구축과 유럽에서의 지위 강화를 중장기 목표로 내세웠다.
2026년까지 글로벌 생산시설 운영 효율화를 통해 전기차 캐즘 극복의 전환점을 마련하고, 2028년에는 고전압 미드니켈 파우치형 제품, 건식전극 공정 활용 LFP 제품 등을 통해 소재·공정·제품의 차별적 우위를 공고히 한다는 목표다.
소형전지사업부에서는 현재 모빌리티·IT 글로벌 1위 지위를 공고히 하고 관련 시장에서의 입지 확대에 주력할 계획이다.
모빌리티 환경에 최적화된 46-시리즈를 성공적으로 양산해 다양한 차종에 대응가능한 경쟁력을 확보하고, 전동공구·청소기 등 고출력 제품 및 AI 데이터 서버 등 신규 고객사 발굴에도 집중하며 2028년까지 글로벌 시장 압도적 1위 구축을 목표로 세웠다.
ESS전지사업부도 고객사 신뢰를 바탕으로 2028년에 미국 ESS 배터리 시장 점유율 1위, ESS 시스템통합(SI) 글로벌 톱3를 달성해 5배의 매출 성장을 이룬다는 목표다.
단계별로는 2025년 미국 ESS 셀 생산 본격 양산을 시작으로 북미에서 입지를 확고히 하고, 고용량·장수명의 신제품 출시와 LGES 버테크 등을 통한 SI 역량 고도화에 집중할 계획이다.
김동명 사장은 “궁극적으로 에너지 생태계를 구축하고 지속가능한 세상을 리드하는 제품과 서비스, 생태계를 이끄는 것이 토탈 솔루션 프로바이더이자 지향하는 우리의 목표”라며 “수많은 가능성에 도전하며 눈부신 성과를 만들어온 우리의 성공 DNA를 바탕으로 더 많은 사업 기회를 만들어 시장을 압도하는 기술리더십을 갖춰 나갈 것”이라고 밝혔다.
이어 “배터리 산업의 글로벌 표준을 만들어왔고 앞으로도 업계 리더로서 위상을 지켜낼 것”이라며 “서로가 서로의 페이스 메이커가 돼 응원하고 함께 손잡고 나아간다면 우리의 기나긴 여정은 더 멋진 풍경과 미래로 다가올 것이라 확신한다”고 밝혔다.
관련기사
- ‘첨단산업=국가안보’ 위기의식…美·中·日, 배터리 등 첨단산업에 수십조 보조금
- 솔루스첨단소재, 캐나다 퀘벡 주정부서 1,500억원 규모 인센티브 확보
- LG엔솔, BMTS 브랜드 ‘비.어라운드’ 공식 론칭
- 중국산 전기차(EV) 독일 제치고 수입 1위…올해 수입액 1조원 돌파
- 엔비디아 오린 SoC, 볼보 전기차 ‘EX90’에 탑재된다
- KT, 전기차(EV) 충전소에 AIoT 영상관제 솔루션 도입
- 일상 언어로 대화하면 AI가 고객 이해…LG전자 류재철 “AI홈 시대 개막” 선언
- 테슬라, 내년 초 유럽·중국에 FSD 출시한다
- “전기차(EV) 배터리 화재 사전 방지”…LG엔솔, 안전진단 SW 사업 시동
- EU, 테슬라 전기차(EV) 관세율 20.8%에서 9%로 인하 조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