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마트주차, 충전 인프라 등 특화 서비스 구축·실증
카카오모빌리티가 삼성물산 건설부문과 업무협약을 체결하고 호텔, 사무공간 등에 도입해 온 로봇 솔루션의 적용 영역을 주거공간으로 확장한다.
카카오모빌리티는 삼성물산과 지난 16일 오후 장성욱 카카오모빌리티 미래이동연구소장, 조혜정 삼성물산 DxP본부장 등 양사 주요 관계자들이 참석한 가운데 서울 송파구 래미안갤러리에서 업무협약식을 가졌다고 18일 밝혔다.
양사는 카카오모빌리티의 로봇 솔루션 ‘브링(BRING)’을 기반으로 배송·청소 등 서비스의 표준화 환경을 구축하고 삼성물산이 자사 주거플랫폼 ‘홈닉(Homeniq)’, 빌딩플랫폼 ‘바인드(Bynd)’을 통해 관리하는 주택과 건물을 위한 특화 서비스 및 미래 주거 문화 개발에 협력하기로 했다.
이번 협약을 통해 카카오모빌리티는 그간 호텔이나 복합 사무공간에 적용해 온 브링을 주거공간까지 확장하는 발판을 마련하게 됐다. 제공 서비스의 범위도 기존 실내배송에서 청소, 실외배송, 발렛 주차 등으로 넓혀 브링의 기능적 확장도 이룰 수 있게 됐다.
카카오모빌리티는 지난 4월 서울 성수동 복합문화공간 ‘누디트 서울숲'을 시작으로 8월 충북 제천의 리조트 ‘레스트리 리솜’ 등 공간으로 브링의 활용범위를 확대하고 있다.
카카오모빌리티 관계자는 “브링이 건물 설계나 로봇 제조사에 상관 없이 다양한 환경에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범용성을 갖춘 덕에 적용 범위를 지속 확대해나가고 있다”고 설명했다.
이외에도 양사는 카카오모빌리티의 ‘카카오T 주차’ 등 카오너 사업과 삼성물산의 주택·빌딩 플랫폼 사업 간 협업을 통해 스마트주차, 충전 인프라 및 로봇 발레파킹 등 특화 서비스의 구축·실증도 추진할 예정이다.
양사는 우선 신축 래미안 아파트 2개 단지에서 최대 20대 이상의 대규모 로봇 서비스 시범 적용을 통해 최적화하고 점차 여러 단지에 카카오모빌리티의 로봇 및 주차 솔루션을 적용해 나갈 계획이다.
장성욱 카카오모빌리티 미래이동연구소장은 “이번 협약을 통해 카카오모빌리티의 플랫폼 기술이 집약된 브링의 적용 범위를 주거공간 등으로 확장하고, 카카오T 주차도 고도화된 형태로 도전해볼 수 있게 됐다”며 “앞으로도 로봇 기술의 일상화를 위해 최선을 다할 것”이라고 말했다.
관련기사
- 슈나이더, OEM파트너 대상 ‘이노베이션 데이 2024’ 성료
- 지멘스 獨에를랑겐 스마트공장, WEF ‘디지털 등대공장’ 선정
- 카카오그룹 “지난해 생산유발효과 15조2000억원”
- 비-로보틱스, 케어원과 MOU…위생관리 자동화 매장·서비스 구현 ‘맞손’
- 팀네이버, 사우디와 AI·로보틱스 분야 협력…중동시장 공략 강화
- 산업부, 국제 공동 R&D 프로젝트 44개 선정
- 도로·장애물 따라 변형 자유자재…기계연, 모양 변하는 바퀴 개발
- SK네트웍스, 손정의 동생 '글로벌 AI 펀드'에 주요 출자자로 참여
- 카카오모빌리티, 현대엘리베이터와 MOU…로봇·승강기 연계 나선다
- 엔비디아, “휴머노이드 로봇 개발자 지원 강화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