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I 국제 공동연구·지도자 양성 수행
인공지능(AI) 모델 훈련의 비용적 한계를 뛰어넘는 연구를 수행하며 우리나라 AI 연구의 구심점 역할을 맡을 국가 AI연구거점이 서울 AI허브에 문을 열었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와 정보통신기획평가원(IITP)은 28일 서울 양재동 AI허브에서 ‘국가 인공지능 연구거점(National AI Research Lab)’ 개소식을 개최했다.
국가 AI연구거점은 내년까지 7,600㎡ 규모로 확충될 계획인 서울 AI허브 내에 설치된다. 2028년까지 국비 440억원을 포함한 946억원이 투자된다.
연구거점의 구축과 운영을 맡을 수행기관으로는 카이스트(KAIST)·고려대·연세대·포스텍 컨소시엄이 선정됐다. 네이버클라우드, 포스코홀딩스, LG전자 등이 협력 기업으로 참여했다.
국가 AI연구거점은 국내외 유수 연구진이 역동적으로 교류하며 AI 국제공동연구를 수행하고 국제 AI 지도자 양성 기능과 산·학·연 생태계를 집약하는 온라인 플랫폼 역할을 맡게 된다.
또 국가 AI연구거점을 통해 미국, 캐나다, 프랑스, UAE 등 해외 유수기관의 연구자도 일정기간 국내에 상주해 도전적 AI 국제공동연구를 수행하며 정기적인 국제 발표회 개최 등 국제 협력 관계망도 구축·확장해 나갈 예정이다.
국가 AI연구거점 주관기관 KAIST 이광형 총장은 “이곳에서 국내외 연구자들이 교류하며 창의적 연구를 펼치길 바란다”고 밝혔다. 오세훈 서울시장은 “국가 AI연구거점에 기반해 서울시가 세계적인 연구자들이 모여드는 국제 중심지로 성장할 수 있도록 지원하겠다”고 약속했다.
유상임 과기정통부 장관은 “국가 AI연구거점의 성공적 출범과 혁신적 운영이 우리나라 AI 발전의 새로운 이정표가 될 것”이라며 “AI 산업 진흥 및 신뢰 기반 조성과 대한민국 AI 세계 3대 강국 도약 총력전을 뒷받침하기 위해 국회에서의 기본법 제정이 시급한 상황인 만큼 정부가 적극 지원하겠다”고 강조했다.
관련기사
- 유통·소비재 주요 트렌드는 ‘리퀴드 소비’…“소비자와 관계 형성이 키워드”
- ETRI, 모바일 협동로봇 SW로 IDEA 본상 수상
- 카카오, 개발자 컨퍼런스 ‘이프카카오’ 성료…그룹 AI 비전 공유
- 3년 뒤 아태지역 AI칩 시장 4천억 달러…IP준수·보안 등은 도전과제
- 네이버D2SF, 북미 스타트업 투자 확대…“글로벌 진출 돕겠다”
- 국가과학기술자문회의법 일부개정법률안 공포
- 과기정통부, ‘자이텍스 2024’서 국내 보안기업 중동 진출 지원
- KT ‘실시간 통화 보이스피싱 탐지’ 서비스, 규제샌드박스 실증특례 승인
- 삼성SDS 3분기 실적발표, 매출 3조5697억원 전년동기비 11.3% 증가
- 팀뷰어, “AI로 IT운영 지원 강화”…세션인사이트 기능 업데이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