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 3대 디자인 대회 중 iF·IDEA 2관왕
비전문가의 로봇작업 지원해 로봇 확산 기
한국전자통신연구원(ETRI)이 미국 ‘IDEA 디자인 어워드 2024’의 사용자경험(UX) 부문에서 이동형 협동로봇 ‘모비’의 티치펜던트 소프트웨어가 본상을 수상했다고 전했다. 3월 독일 iF디자인 어워드수상한 모비는 세계 3대 디자인 대회 중 2개 대회를 수상하게 됐다.
모비의 티치펜던트 소프트웨어는 로봇 전문기업 뉴로메카와 고려대학교 디자인조형학부 유승헌 교수 연구팀이 공동으로 개발했다.
애플리케이션 형태로 비전문가도 쉽게 사용할 수 있는 사용자 친화적이고 직관적인 인터페이스와 사용성이 호평받고 있다. 이 소프트웨어의 기반 기술은 ETRI가 개발해 올해 뉴로메카에 기술이전한 것이다.
고려대는 모바일 매니퓰레이터 티치펜던트 앱에 들어가는 UX/UI 디자인을 맡았고, 뉴로메카는 모바일 매니퓰레이터의 하드웨어 및 프레임워크를 개발했다. ETRI는 티치펜던트(모비 앱) 전체 UX 설계와 개발을 담당했다.
모비 티치펜던트 소프트웨어는 기존 모바일 로봇과 협동로봇에서 각각 수행된 지도, 경로생성, 교시작업 등을 하나의 소프트웨어에서 가능하도록 한 특징이 있다.
티치펜던트를 이용해 모바일 로봇의 자율주행을 위한 목적지, 이동경로 설정과 매니퓰레이터가 물체 조작을 위해 작업의 교시를 동시에 수행하는 것이 가능하다.
사용자 편의성이 높아 비전문가들도 쉽게 로봇을 사용함으로써 다양한 분야에서 인간과 로봇이 공동으로 작업할 수 있는 환경 조성이 가능해 중소·중견 제조업체, 식음료, 물류, 창고, 마켓, 박물관 서비스분야 등 다양한 분야에 적용할 수 있다.
ETRI 로봇·모빌리티연구실의 동지연 박사는 “현재 로봇이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되고 있는데, 사용자 친화적인 티칭펜던트를 통해 비전문가들도 쉽게 사용함으로써, 인간과 로봇의 협업이 더 강화될 수 있기를 바란다”고 말했다.
한편, ETRI 연구진은 로봇 인터페이스 기술을 4족보행 로봇, 휴머노이드 로봇 등 다양한 로봇에 적용하고 사람과 로봇이 상호작용을 통해 복잡한 명령을 쉽게 수행해 인간과 로봇의 협업이 강화될 수 있도록 로봇 인터페이스 기술개발을 확대할 계획이다.
관련기사
- 3년 뒤 아태지역 AI칩 시장 4천억 달러…IP준수·보안 등은 도전과제
- 오토데스크, 설계·제조 효율성 개선 ‘오토데스크 퓨전·알리아스’ 공개
- 뉴로메카, 포스코홀딩스와 로봇공동연구센터 개소
- 2025년 주목할 기술 트렌드는 ‘에이전틱AI’·‘PQC’·‘공간컴퓨팅’
- 코봇(CoBot)이 견인하는 산업자동화의 미래
- ETRI, ‘인간이해 AI 논문경진대회’ 성료
- 슈나이더 상하이·몬터레이 공장, WEF ‘디지털 등대공장’ 선정
- ‘2024 ETRI 자율성장 AI 경진대회 시즌5’ 성료
- 정부 “2027년 휴머노이드 경쟁력 글로벌 최고 수준으로”
- ETRI, 정형기법 기반 IoT 보안 프로토콜 기술 고도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