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해 8회째 열린 ‘삼성 AI 포럼’, 국내외 AI 석학 모여 연구성과 공유
얀 르쿤 교수 “기계, 인간 수준 지능 도달 위해서는 추가 혁신 필요”
국내외 인공지능(AI), 컴퓨터공학(CE) 석학들이 한자리에 모여 AI시대 미래 기술 트렌드와 향후 도전과제를 조망하는 자리가 마련됐다.
삼성전자가 이달 4일부터 5일까지 이틀 간 ‘삼성 AI 포럼 2024’을 열고 글로벌 인공지능(AI) 석학들과 AI의 미래에 대해 논의했다.
올해로 8회째를 맞는 삼성 AI 포럼은 세계적으로 저명한 인공지능·컴퓨터공학 분야 석학과 전문가들을 초청해 최신 연구성과를 공유하고 향후 연구 방향을 모색하는 자리로 마련됐다.
포럼에서 딥러닝(DL) 분야 세계적 권위자인 요슈아 벤지오 캐나다 몬트리올대 교수, 얀 르쿤 메타 수석 AI 과학자 겸 미국 뉴욕대 교수, 지식 그래프(Knowledge graph) 분야 세계적 권위자인 이안 호록스 영국 옥스퍼드대 교수 등 글로벌 AI 석학이 기조강연에 나섰다.
삼성전자 SAIT가 주관한 1일차 포럼은 ‘인공지능과 반도체 기술을 활용한 지속가능한 혁신 방안 모색’을 주제로 4일 수원컨벤션센터에서 진행됐다.
벤지오 교수는 이날 ‘AI 안전을 위한 베이지안 오라클’을 주제로 기조강연자로 나서 보다 안전하고 신뢰성 높은 AI시스템 구축을 강조했다.
벤지오 교수는 대규모 노동시장 영향, AI를 이용한 해킹, 슈퍼인텔리전스의 출현 등 AI의 미래 위험성과 함께 AI의 성능이 다양한 분야에서 인간 수준을 넘어섰다는 연구결과를 공유하며 “AI 안전을 위해서는 정책 입안자들은 물론 대중들도 AI의 현재 상태와 미래에 대해 정확히 이해하고 있어야 한다”고 밝혔다.
벤지오 교수는 AI의 안전성을 확보하기 위해 AI가 위험한 행동을 하지 않도록 사전에 안전한 AI 설계가 이뤄지고, AI의 행동과 목표를 인간과 일치시며 국가·기업 간 AI 경쟁에 더 많은 조정과 협력이 필요하다고 조언했다.
벤지오 교수와 함께 2018년 튜링상을 수상한 얀 르쿤 교수는 기조강연을 통해 현 대규모언어모델(LLM)의 수준과 한계를 설명하고 기계가 인간의 지능 수준에 도달하기 위해서는 추가적인 기술 혁신이 필요함을 강조했다.
기술 세션에서는 AMD 최고기술책임자(CTO)인 조세프 마크리 부사장이 ‘어디에나 존재하는 AI’를 주제로 AMD의 AI솔루션을 소개하고 AI플랫폼과 협업의 중요성, AMD의 강점 등을 공유했다.
삼성리서치가 주관한 2일차 포럼은 ‘모두의 일상생활을 위한 디바이스 AI’'를 주제로 삼성전자 서울R&D캠퍼스에서 열렸다.
삼성전자 삼성리서치 김대현 글로벌 AI센터장(부사장)은 환영사를 통해 “생성AI 기술 발전에 따른 디바이스 AI의 일상 변화가 가속화되고 있다”면서 “이번 포럼이 다가오는 AI 시대의 새로운 가능성을 논의하고 공유하는 장이 되기를 바란다”고 말했다.
2일차 포럼에서는 옥스퍼드시멘틱테크놀로지스(OST)의 공동설립자인 영국 옥스퍼드대 이안 호록스 교수가 ‘지식 그래프를 적용한 개인화 AI 서비스 기술’을 주제로 기조강연에 나섰다. 삼성전자는 앞서 지난 7월 지식 그래프 원천 기술을 보유하고 있는 OST를 인수한 바 있다.
호록스 교수는 지식 그래프의 중요성과 지식 그래프가 사람의 지식 기억 및 회상 방식과 유사하게 데이터를 저장·처리하는 방식을 설명했다.
또 지식 그래프 시스템의 특징을 잘 반영하는 검색·추천 등의 주요 활용사례를 소개하고 유연한 데이터 모델과 논리적 추론을 바탕으로 한 사용자 맞춤형 서비스 구현 방안을 제시하면서 눈길을 끌었다.
삼성전자 SAIT 최창규 AI리서치센터장(부사장)은 ‘과학을 위한 AI’ 주제 발표를 통해 “AI와 반도체 기술은 우리의 삶을 개선할 뿐만 아니라 개발 시간과 비용을 줄이는 등 과학 분야에서도 중요하다”면서 “특히 실험 데이터가 부족하거나 물질 합성이 어려운 경우에 AI가 큰 도움이 된다”고 밝혔다.
삼성리서치 이해준 마스터는 LLM의 효율적인 학습을 위해 “고품질의 데이터, 효율적인 아키텍처, 안정된 훈련 기법 등이 필요하다”며 “이를 통해 비용과 성능을 동시에 개선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또 이전 모델 재사용을 통해 새로운 모델 학습의 효율과 성능을 개선할 수 있고, 이런 방법들이 언어 모델 개발에 있어 중요하게 고려해야 할 요소라고 강조했다.
삼성전자 한종희 대표이사 부회장은 “AI는 놀라운 속도로 우리의 삶을 변화시키고 있고 더 강력해짐에 따라 ‘어떻게 AI를 더 책임감 있게 사용할 수 있을지’가 중요해졌다”면서 “삼성전자는 효율적이고 지속가능한 AI생태계를 구축하는데 책임을 다할 것”이라고 밝혔다.
관련기사
- 오픈AI도 자체 AI칩 개발…“브로드컴과 공동 설계, 생산은 TSMC”
- AI스타트업 시에라, 1억7500만 달러 자금 조달 성공
- “AI기술 확대·도입으로 기업 중간관리자 절반 감소할 것”
- IBM, 기업용 오픈소스 AI 모델 ‘그래니트3.0’ 공개
- 네이버, 자연어처리 학회 ‘EMNLP 2024’서 연구논문 4건 채택
- HPE, AMD ‘에픽’ 기반 프로라이언트 서버 출시
- SAP, 코파일럿 ‘쥴’로 협업 강화…엔터프라이즈 AI 혁신 가속
- 엔비디아, 폭스콘과 대만에 AI슈퍼컴퓨터 구축한다
- GCP, “데이터 클라우드에 생성AI 기능 업데이트”
- 삼성, 英스타트업 ‘옥스퍼드시멘틱테크놀로지스’ 인수 계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