獨 ‘텍스케어 2024’서 상업용 대용량 세탁·건조 신제품 첫 선
LG전자가 생활가전의 B2B 사업 확대에 나섰다. 인공지능(AI)과 고효율 기술로 차별화된 상업용 세탁기·건조기 풀라인업을 공개하고 글로벌 B2B시장 공략에 속도를 낸다.
LG전자는 독일 프랑크푸르트에서 6일(현지시간)부터 나흘간 열리는 국제 세탁 박람회 ‘텍스케어 2024’에서 상업용 대용량 세탁·건조 신제품 라인업 ‘LG 프로페셔널’을 공개했다.
LG 프로페셔널은 30/25/20kg 세탁기와 30/25kg 건조기, 단일 제품으로 세탁과 건조를 끝내는 일체형 콤보(세탁 25kg/건조 16kg) 등을 모두 포함한 대용량 신제품 라인업이다.
LG전자는 가정용 시장에서 축적해 온 차별화된 기술과 노하우를 바탕으로 상업용 B2B시장에서도 입지 확장에 나선다. 특히 이번 LG 프로페셔널로 15kg 이상 대용량까지 상업용 세탁·건조기 풀라인업을 완성하면서 경쟁력을 강화했다.
4년마다 개최되는 텍스케어는 미국의 ‘클린 쇼’와 함께 대표적인 글로벌 B2B 세탁 및 섬유관리 산업 전시회로 꼽힌다. 전세계 250여개 업체와 호텔·병원·대형 세탁체인점 등 1만5000여 명의 업계 관계자가 참가한다.
LG전자는 2016년 텍스케어, 2022년 클린쇼 등 주요 전시회에 참가해 업계 인지도를 높이고 제품 경쟁력을 강화해 왔다.
LG 프로페셔널 제품군에는 최적의 세탁과 건조를 위한 AI기술이 적용됐다. 세탁기에 적용된 AI는 세탁물의 무게를 감지해 물과 세제의 사용량을 조절하고 최적으로 탈수해 세탁 시간을 단축한다.
건조기와 콤보 신제품은 냉매를 순환시켜 발생한 열을 활용해 빨래가 머금고 있는 수분만 빨아들이는 저온 제습 방식의 인버터 히트펌프를 탑재했다.
LG전자는 이번에 상업용 콤보 제품에 업계 최초로 히트펌프 방식 건조를 적용했다. 건조기의 AI 센싱 드라이 기능은 건조물 무게를 감지하고 미리 설정한 정도에 맞춰 건조를 진행해 에너지 효율을 높였다고 사측은 설명했다.
상업용 세탁기는 세탁 전문점이나 호텔·레스토랑과 같은 대규모 시설에서 주로 사용된다. LG전자 자체 추정에 따르면 글로벌 시장 규모는 약 35억달러로 추산된다.
LG전자 H&A사업본부 류재철 본부장은 “B2B는 LG전자 생활가전 사업의 중요한 축”이라며 “B2B에 최적화한 강력한 성능과 에너지 절약을 모두 갖춘 혁신적 솔루션으로 상업용 시장의 게임 체인저가 되겠다”고 말했다.
관련기사
- SKT, AI에이전트 ‘에스터’ 공개…글로벌 시장 진출 본격화
- 디지털 초연결 시대 이슈 다룬다…‘글로벌 ICT 표준 컨퍼런스’ 개막
- LG전자, AI가전-HVAC 기술 집약한 모듈러 주택 ‘스마트코티지’ 출시
- 유통·소비재 주요 트렌드는 ‘리퀴드 소비’…“소비자와 관계 형성이 키워드”
- “특허빅데이터 활용·기술보호 법령 강화로 기술유출 선제적 대응”
- LG전자, B2B 사업 정조준…“2030년 BS사업본부 매출 10조원 달성”
- 삼성, 美실리콘밸리서 ‘2024 테크 포럼’ 성료
- 삼성 한종희 “모바일·TV·가전 하나로 잇는 초개인화 AI 경험 제시”
- LG전자, 코레일과 이음5G 솔루션 시범구축…신사업 발굴 ‘맞손’
- LG전자 ‘투명 올레드 모듈러 사이니지’, 우수디자인 국무총리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