약 10만개 엔비디아 칩 구매…멤피스 데이터센터 강화
일론 머스크 테슬라 CEO가 창업한 인공지능(AI) 전문기업 xAI가 60억달러(약 8조3800억원)의 자금조달에 나섰다고 CNBC가 보도했다. xAI 기업가치를 500억달러(69조8000억원)로 평가한 투라라운드를 추진한다는 것이다.
xAI의 신규 펀딩 추진은 지난달 월스트리트저널(WSJ)이 최초 보도했다. WSJ에서는 xAI가 400억원의 기업가치로 펀딩에 나선다고 전했는데, 이보다 100억달러 더 높은 기업가치 평가로 투자유치를 추진하는 것이다.
xAI는 5월 240억달러의 기업가치로 60억달러의 투자금을 유치하는 펀딩에 성공한 바 있다.
CNBC에 따르면, 이번 투자라운드의 목표액 60억달러 중 50억달러는 중동 국부펀드가 투자를 계획하고 있으며, xAI는 투자금의 대부분을 엔비디아 칩 구매에 활용할 예정이다.
투자금을 활용해 10만여개의 엔비디아 칩을 구매해 미국 테네시주 멤피스에 위치한 데이터센터를 업그레이드하려 한다는 것이다.
멤피스 데이터센터는 xAI의 AI챗봇 ‘그록’ 구동 외에도 테슬라의 자율주행 기능인 'FSD'의 주행 데이터 학습 작업도 수행하는 것으로 알려진다.
파이낸셜타임스는 "10만개의 칩(GPU)으로 구성된 거대 클러스터 구축 프로젝트(콜로서스)를 통해 xAI는 세계에서 가장 큰 슈퍼컴퓨터를 보유한 기업 중 하나가 될 것"이라며 "이 시스템은 테슬라, 스페이스X, 뉴럴링크 등 머스크 소유 기업에서 중요한 역할을 할 가능성이 높다"고 평가했다.
한편,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당선자의 선거 활동을 적극적으로 지원하면서 머스크 CEO는 차기 트럼프 행정부의 실세로 여겨지고 있다. 대통령 당선자의 실제로 떠오르며 미국 대선 이후 그가 소유한 테슬라의 주가는 약 30% 상승했다.
관련 업계에서는 규제에 대한 머스크 CEO의 반감을 고려할 때 AI, 자율주행 등에 대한 다양한 규제가 철폐될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실제로 트럼프 당선자는 선거공약에서 조 바이든 대통령이 서명한 AI에 대한 행정명령 폐지를 약속한 바 있다.
관련기사
- “문턱 높은 방산 시장”은 옛말…틈새 도전하는 스타트업계 ‘블루오션’
- 韓, AI 채택·통합 우위…“자율주행·스마트제조 등 AI기술 적극 도입”
- 엔비디아 젠슨 황, “인도 로보틱스 혁신 돕겠다”
- 카카오모빌리티, 로보티즈와 MOU…실내외 배송로봇 서비스 구현 ‘맞손’
- 구글 웨이모, 56억 달러 투자유치 성공…총 투자금 100억 달러 돌파
- 3분기 실적 호조에 날개 단 테슬라…CEO 리스크는 ‘잠재적 위험’
- VC 투자금 흡수하는 AI스타트업계…“전체 투자 40% 차지”
- 정부 “2027년 휴머노이드 경쟁력 글로벌 최고 수준으로”
- 소문난 잔치에 먹을 것 없다더니…‘로보택시’ 공개한 테슬라 주가 폭락
- 오픈AI, 66억 달러 대규모 펀딩…“100억 달러 이상 유동성 확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