차세대 반도체 R&D복합단지, 2030년까지 20조원 투자
삼성전자가 18일 기흥캠퍼스에서 차세대 반도체 ‘R&D단지(New Research & Development–K, NRD-K) 설비 반입식’을 개최했다. NRD-K는 삼성전자가 미래 반도체 기술 선점을 위해 건설중인 10만9000㎡(3만3000여평) 규모의 최첨단 복합 연구개발 단지로 2030년까지 총 투자 규모가 20조원에 이른다.
이날 행사에는 삼성전자 전영현 부회장을 비롯한 DS부문 주요 경영진과 설비 협력사 대표, 반도체연구소 임직원 등 약 100명이 참석했다.
기흥캠퍼스는 1983년 2월 도쿄선언 이후 삼성전자가 반도체 사업을 본격적으로 시작한 상징적인 곳이다. 1992년 세계 최초로 64Mb D램을 개발하고 1993년 메모리 반도체 분야 1위 등을 이뤄낸 반도체 성공 신화의 산실이다.
삼성전자는 반도체 사업 태동지인 기흥에 미래 기술 연구의 핵심인 NRD-K를 건설해 혁신의 전기를 마련하고 기술력과 조직 간 시너지 극대화에 나설 계획이다.
NRD-K는 메모리반도체와 시스템반도체, 파운드리 등 반도체 전 분야의 핵심 연구기지로 근원적 기술 연구부터 제품 개발까지 한 곳에서 이뤄질 수 있도록 고도의 인프라를 갖출 예정이다.
차세대 메모리 반도체 개발에 활용될 고해상도 극자외선(EUV) 노광설비나 신물질 증착 설비 등 최첨단 생산 설비와 웨이퍼 2장을 이어 붙여 혁신적 구조를 구현하는 웨이퍼 본딩 인프라 등을 도입해 최첨단 반도체 기술의 산실 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된다.
이날 설비 반입식에 참석한 어플라이드머티어리얼즈코리아 박광선 지사장은 “상생 협력의 파트너십이 중요한 시기에 어플라이드머티어리얼즈는 삼성전자와의 긴밀한 협력을 통해 함께 혁신의 속도를 높여 반도체 산업 발전에 기여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밝혔다.
전 부회장은 “NRD-K를 통해 차세대 반도체 기술의 근원적 연구부터 제품 양산에 이르는 선순환 체계 확립으로 개발 속도를 획기적으로 개선해 나갈 것”이라며 “삼성전자 반도체 50년의 역사가 시작된 기흥에서 재도약의 발판을 다져 새로운 100년의 미래를 만들겠다”고 밝혔다.
관련기사
- IAR, FSG컨소시엄과 ‘기능안전 솔루션 세미나’ 성료
- SK하이닉스, 산학연구과제 우수발명 포상…“R&D 역량 강화 이어갈 것”
- 제1차 한·영 과기혼성위 개최…합성생물학·반도체 등 협력 모색
- “프리미엄 스마트폰, 성장은 계속된다”
- “AI칩 역량 키운다”…LG전자, 팹리스 스타트업 ‘텐스토렌트’와 협력
- ‘이사회 2.0’ 추진하는 SK그룹…최태원 “AI 대확장 대비 이사회 역할 강화”
- 이달 양자기술산업법 시행…NIA, 지자체와 첫 협력체계 구축
- AI석학 요슈아 벤지오 교수 “안전하고 신뢰성 높은 AI시스템 구축해야”
- 2031년까지 반도체 국제표준 39건 개발…정부, 초격차 기술 확보 지원
- SK하이닉스, 321단 낸드 양산 개시…내년 상반기 공급 예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