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상상황 판단 AI·로봇 기술로 산업재해 방지
내년 울산 정유공장 실증 고도화 추진

산업재해 예방 로봇 시연 [사진=ETRI]
산업재해 예방 로봇 시연 [사진=ETRI]

한국전자통신연구원(ETRI)이 산업재해 예방을 위한 안전지원 로봇 기술을 개발했다고 밝혔다.

기존에 사진만 촬영하거나 손만 움직이는 등 단순하고, 독립적인 형태로 운영되던 형태에서 안전순찰로봇과 감독순찰로봇을 활용해 근로자·현장설비 이상상황을 탐지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사고를 예방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ETRI가 개발한 다중로봇간 협업 기술은 산업현장의 근로자 및 설비상태를 주기적으로 확인하는 안전순찰로봇과 명령에 따라 수행하는 감독순찰로봇이 상호협력하는 기술이다.

가장 큰 특징은 로봇에 인공지능(AI)을 적용해 로봇간 협업을 구현했다는 점으로, 이를 통해 상용로봇을 AI기술과 결합시켜 특정 분야 맞춤형으로 활용할 수 있다고 ETRI는 설명했다.

가령 산업현장에서 로봇이 특정 시설을 촬영할 때, 구조물에 가려 문제가 발생하면, 로봇 스스로 촬영이 잘못됐음을 내부 AI 인식 모듈이 인지하고, 자동으로 두 번째 로봇이 이동해 정밀 분석해 촬영한다. 

ETRI는 ▲이종의 다중 에이전트 연계 제어기술 ▲멀티 에이전트 협업 프레임워크 기술 등을 개발에 활용된 핵심 기술로 설명했다. 

이상상황 판단 AI기술은 영상을 통해 근로자의 안전 복장 미착용이나 쓰러짐 등 이상행동 등을 빠르게 탐지하거나 온도, 압력, 수위 등 산업설비에 대한 정상여부를 판단한다.

이를 통해 작업자의 안전장비 착용여부나 위험상황을 판단할 수 있으며, 설비의 압력·온도를 측정하는 게이지를 읽어 안전성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즉, 산업재해와 관련된 안전관리 자동화가 가능하다.

멀티 에이전트 협업 기술은 사진 촬영 로봇이나 로봇팔을 가진 작업 로봇, CCTV 등의 다양한 에이전트들을 긴밀히 연결하고 이들의 유기적인 움직임 제어를 기반으로 제조·건설·창고 등 다양한 산업현장의 이상상황을 탐지할 수 있게 한다. 

ETRI 서범수 필드로보틱스연구실장은 “향후 산업현장의 특성에 최적화된 로봇의 제어기술과 기밀데이터로 분류되는 산업설비의 데이터 관리, 이상상황 등을 분석하는 AI 기술의 추가개발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ETRI 최정단 모빌리티로봇본부장은 “이번 기술개발로 산업재해자수 감소가 되길 바라고 안전관리자를 보조하는 AI 로봇 기술이 근로자를 보호하며 산업체의 생산 경쟁력 확보에 기여하도록 노력하겠다”고 밝혔다.

한편, ETRI는 이번 산업 안전지원 로봇 기술을 대전 유성구 한국전력공사 전력연구원에서 시험 중에 있으며, 내년까지 울산시 소재 석유화학공장 현장에서도 실증을 진행해 고도화할 예정이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ITBizNew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