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PMG 보고서, 최신 기술 접목한 사례·비즈니스 모델 다수 공개 예상

사진은 올해 1월 미국 라스베이거스 컨벤션센터에서 열린 CES 2024 현장 [사진=AFP통신]
사진은 올해 1월 미국 라스베이거스 컨벤션센터에서 열린 CES 2024 현장 [사진=AFP통신]

내달 7일(현지시간) 미국 라스베이거스에서 개막하는 ‘CES 2025’에서 주목해야 할 트렌드로 인공지능(AI)·로보틱스, 모빌리티, 디지털 헬스케어, 에너지 테크 등이 제시됐다.

현장에서 최신 기술 트렌드를 선보이며 공유하는 자리를 넘어 이들 기술을 적용한 실제 사례와 비즈니스 모델이 다수 공개될 것으로 예상된다.

삼정KPMG는 보고서(CES 2025 프리뷰: 미리 보는 CES 트렌드)를 통해 ‘CES 2025’에서 주목해야 할 6대 핵심 트렌드와 기술 동향을 제시했다.

이번 CES에는 삼성전자, LG전자, SK텔레콤, SK하이닉스 등 국내 대표 선도 기업들이 참가해 온디바이스AI 등 고도화된 AI 기술을 접목한 다양한 제품들을 발표할 것으로 기대된다.

보고서는 CES 2025의 핵심 트렌드로 ▲AI·로보틱스 ▲모빌리티 ▲확장현실(XR) ▲스마트홈 ▲디지털 헬스케어 ▲ESG를 제시했다.

AI·로보틱스 분야에서는 AI기술의 고도화, 디바이스의 다양화, 높은 보안 성능을 갖춘 온디바이스AI가 주목받을 것으로 예상된다. 특히 로봇과 가전기기 등 다양한 제품에 AI를 접목해 이용자의 개입을 최소화하면서 다양한 기능을 제공하는 AI에이전트 기술이 관심을 끌 것으로 보인다.

모빌리티 분야에서는 소프트웨어중심차량(SDV) 기술과 더불어 카메라·센서 등의 기술 고도화를 통해 데이터를 더 효과적으로 확보할 수 있는 제품이 등장할 것으로 예상된다. 탑승객의 편의성을 혁신적으로 개선할 인포테인먼트(IVI) 제품도 다수 공개될 것으로 보고서는 기대했다.

XR 분야에서는 다양한 산업 현장에서 활용가능한 전문가용 특화 XR 디바이스와 게이밍 및 스포츠 등 엔터테인먼트 분야에서의 XR 적용사례, XR에 AI기술과 로보틱스를 결합한 혁신적인 디바이스도 공개될 예정이다.

스마트홈 분야에서는 AI와 IoT 기술을 결합한 스마트가전, 가정용 로봇, 안전 시스템 등이 혁신적인 변화를 예고하고 있다. 사용자 생활패턴과 선호도를 학습해 맞춤형 설정을 제공하는 개인화 서비스와 기기 간 상호 운용성을 강화한 통합 플랫폼이 특히 주목받을 것으로 보고서는 예상했다.

디지털 헬스케어 분야에서는 AI를 활용해 복잡한 의료 데이터를 분석하고 정밀 의학 기술을 고도화하는 제품이 두드러질 전망이다. 의료 데이터 확보뿐만 아니라 치료와 생활 편의성을 개선하는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역할도 한층 확대될 것으로 예견했다.

ESG 분야에서는 ESG 전략 수립과 실행이 글로벌 기업의 필수 과제로 자리잡으면서 CES에서도 인류의 안녕과 보호를 위한 ‘인간 안보(Human Security)’ 개념이 다시 한번 주목받을 것으로 예상된다.

특히 화석연료의 급격한 퇴출보다는 탄소배출 감축에 초점을 맞춘 에너지 전환 트렌드와 함께 에너지 테크의 부상이 주목받을 키워드로 보고서는 제시했다.

삼정KPMG 테크놀로지 산업 리더 염승훈 부대표는 “지난 CES가 AI의 가능성을 보여줬다면, CES 2025에서는 AI기술의 실제 적용과 비즈니스 모델을 제시하는 자리가 될 것”이라며 “보고서가 기업들에게 실질적인 도움이 되길 기대한다”고 말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ITBizNew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