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G 월드 프리미어, 물리·가상 연결하는 ‘총체적 경험’ 제시
MS와 파트너십, 공감지능 기반 통합 서비스 구현

LG전자 조주완 CEO가 AI홈에 이어 모빌리티, 커머셜 등 일상 속 다양한 공간으로 확장되는 AI 혁신을 소개하는 한편, 마이크로소프트(MS)와 전략적 파트너십을 발표했다. [사진=LG전자]
LG전자 조주완 CEO가 AI홈에 이어 모빌리티, 커머셜 등 일상 속 다양한 공간으로 확장되는 AI 혁신을 소개하는 한편, 마이크로소프트(MS)와 전략적 파트너십을 발표했다. [사진=LG전자]

LG전자가 ‘CES 2025’ 개막을 하루 앞둔 6일(현지시간) 미국 라스베이거스 만달레이베이 컨벤션센터에서 ‘공감지능과 함께하는 일상의 라이프스 굿’을 주제로 LG 월드 프리미어를 열고 공감지능(AI)을 통한 차별화된 고객경험 확산에 집중할 것을 밝혔다.

특히 이날 LG전자는 마이크로소프트(MS)와의 전격적인 협력 소식을 공유하며 MS의 AI기술을 결합, 공감지능 통합 서비스를 구현하고 향후 B2B 시장에서의 입지 확대에 나설 것도 밝혔다.

LG 월드 프리미어는 CES 개막에 앞서 글로벌 미디어와 파트너를 대상으로 혁신과 미래 비전을 소개하는 행사로 글로벌 미디어·파트너사 관계자 등 총 1천여명이 참석한 가운데 열렸으며 온라인으로도 생중계됐다.

LG전자는 앞서 CES 2024에서 미래 고객경험 패러다임 전환을 위해 기술적 관점에서 논의되는 인공지능(Artificial Intelligence)을 공감지능(Affectionate Intelligence)으로 재정의 한 바 있다. 

올해는 공감지능이 집과 차량, 커머셜, 가상공간에 이르기까지 고객의 다양한 공간과 경험을 연결·확장하며 일상을 변화시키는 구체적인 모습을 중심으로 향후 비전을 공유했다.
 
조주완 CEO의 기조연설을 통해 “고객을 배려하고 공감하는 공감지능이 이제는 여러 물리적 공간과 가상환경에 이르기까지 서로 매끄럽게 이어지며 총체적 경험을 제공하는 기술로 진화하고 있다”고 말했다.

이어 “일상의 다양한 공간에서 제품과 서비스가 매끄럽게 연결되는 총체적인 경험이야말로 공감지능이 제공할 수 있는 차별적 고객가치이자 다른 AI 기술과 구별되는 점”이라고 강조했다.

조 CEO는 총체적 경험을 구현하는 필수 요소로 ▲커넥티드 디바이스 ▲유능한 AI에이전트 ▲통합 서비스 등을 꼽으며 이를 확보하기 위한 노력도 공유했다.

AI의 고객 접점이 되는 커넥티드 디바이스는 LG전자의 큰 자산 가운데 하나로 LG전자는 전 세계 수억 대에 달하는 스마트 제품을 보유하고 있다. 지난해에는 ‘앳홈’을 인수하며 전세계 170개 이상 IoT 기기 브랜드들과도 연결성도 지속 확대하고 있다.

AI에이전트로는 LG AI홈의 두뇌 역할을 하는 LG 퓨론(FURON)을 진화시켜 나간다. 대규모언어모델(LLM) 기반 생성AI에 실시간 공간 센싱과 고객별 생활 패턴 데이터를 결합한 LG 퓨론은 고객의 상황과 맥락을 실시간으로 파악하고 이를 바탕으로 기기와 서비스를 제어한다.

◆MS와 전략적 파트너십으로 혁신 주도
조 CEO는 마이크로소프트(MS)와 전략적 파트너십도 전격 발표했다. LG전자가 집·차량·상업용 공간 등 다양한 공간에서 보유한 제품과 얻게 되는 고객 인사이트에 MS의 AI기술을 결합해 공감지능 통합 서비스를 구현하며 혁신을 주도해 나간다는 계획이다.

저드슨 알소프 MS 수석부사장는 “스마트한 제품과 서비스로 고객의 경험을 혁신하며 일상의 변화를 만드는 선두주자인 LG전자와 파트너십을 발표하게 돼 기쁘다”며, “LG전자와 단순한 기술 협업을 넘어 더 나은 삶을 위한 혁신적인 경험을 만들 것”이라고 말했다.

양사는 집 안에서부터 차량·호텔·사무실 등에 이르는 다양한 공간에 활용되는 AI에이전트 개발 및 고도화에 협력한다. 

LG전자는 이동형 AI홈 허브(프로젝트명 Q9)가 고객과 원활하게 소통할 수 있도록 MS의 음성인식·음성합성 기술을 적용하면서 Q9이 고객의 다양한 억양, 발음, 구어체적 표현까지 파악할 수 있도록 지원하고 있다. 

이에 더해 MS와 함께 고객을 이해하고 상호작용하면서 고객의 필요와 선호도까지 예측하는 AI에이전트를 개발한다는 계획이다.

저드슨 알소프 부사장은 전세계적인 AI 열풍으로 급성장하는 AI데이터센터 분야에서의 양사 협업 계획도 밝혔다. 

6일(현지시간) 미국 라스베이거스 만달레이베이 컨벤션센터에서 열린 LG 월드 프리미어 현장 [사진=LG전자]
6일(현지시간) 미국 라스베이거스 만달레이베이 컨벤션센터에서 열린 LG 월드 프리미어 현장 [사진=LG전자]

LG전자의 초대형 냉방 기술인 칠러(Chiller)와 AI데이터센터용 솔루션이 데이터센터 핵심 인프라로 부상한 데 따른 것으로, 양사는 MS가 구축하는 차세대 AI데이터센터에 필수 기술인 열관리·칠러 등에서 협업할 계획이다.

조 CEO는 AI가전, HVAC 등 기술이 집결된 소형 모듈러 주택(스마트코티지)으로 새로운 주거 경험을 제공하고 자동차를 소프트웨어중심차량(SDV) 솔루션 기반의 ‘바퀴 달린 생활공간’으로 정의하고 AI기술을 적용해 새로운 모빌리티 경험을 제공하는 등 B2C를 넘어 B2B 영역에서도 AI 기반 혁신을 주도할 것을 강조했다.

세계적 수준의 제조 역량을 기반으로 하는 스마트팩토리 사업에서는 AI와 로봇 기술을 활용해 다양한 산업 분야에서 차세대 제조 솔루션을 제공하고 있으며, AI 기반 열 관리 시스템 및 칠러 기술은 AI데이터센터의 에너지 효율을 최적화하는 데 활용된다.

조 CEO는 “궁극적인 목표는 언제 어디서나 공감지능을 통해 총체적인 고객경험을 창출하는 것”이라며, “우리의 삶이 AI로 어떻게 변화하든 LG전자는 AI를 기반으로 라이프스굿(Life’s Good)이라는 변하지 않는 가치를 제공하기 위해 노력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ITBizNew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