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학기술정보통신부가 이달 7일(현지시간)부터 10일까지 미국 라스베이거스에서 열리는 ‘CES 2025’에서 국내 디지털 기술의 국제적 사업화를 활성화하는 방안을 모색한다고 밝혔다.
과기정통부는 정보통신산업정책관을 단장으로 ‘CES 2025 정책조사단’을 꾸렸으며, CES 2025에 참가해 글로벌 진출을 위해 힘쓰는 우리 디지털 기업을 격려할 예정이다.
CES는 미국 소비자기술협회(CTA) 주최로 올해 58주년을 맞는 세계 최대 규모의 전자제품 전시회다. 산업 전반에서 근본적인 변화를 일으키는 인공지능(AI)의 새로운 가능성을 강조하는 의미에서 ‘연결(Connect), 해결(Solve), 발견(Discover), 몰입(Dive in)’을 주제로 개최된다.
올해는 약 4,500개의 세계적 기업이 참가하며 우리나라는 삼성전자, LG전자, 현대모비스, SK텔레콤 등 대기업과 디지털 혁신 중소·벤처기업 약 800개사가 참가한다.
과기정통부는 국내 ICT 주요 기업과 CES 혁신상 수상기업, 디지털 청년 인재, 재외 한인과학자 등 간담회를 개최해 국내 우수한 디지털 기술의 국제적 사업화와 관련한 건의사항과 애로사항, 국제 협력 연구개발 성과 제고 방안 등을 논의할 계획이다.
행사 첫 날에는 삼성전자, LG전자, SK텔레콤, 현대모비스 등 국내 디지털 산업의 세계 진출을 선도하는 국내 주요 정보통신기술 기업인과 간담회를 열고 세계 시장 진출 과정에서의 애로사항과 정책 건의사항을 청취할 예정이다.
또 디지털 청년 인재 토크콘서트를 개최해 국내 디지털 청년 인재의 세계적·기업가 정신을 고취하고 앞으로의 도전을 격려하는 시간도 갖는다.
행사 이튿날에는 모빌린트, 가우디오랩, 버넥트, 비트센싱, 한양대 등 정보통신기술 혁신상 수상기업과 간담회를 열고 ICT 연구개발 사업 수행 기업으로 국제 기술사업화 과정의 애로사항과 중소·벤처가 유니콘으로 도약하기 위해 필요한 정부 지원 방향을 청취할 예정이다.
전영수 과기정통부 국장은 “간담회를 통해 우수한 국내 기술의 국제적 사업화 방안을 깊이 고민해 우리나라 디지털 혁신기업이 세계적 거대 신생기업으로 발돋움할 수 있도록 정책에 반영하겠다”고 밝혔다.
관련기사
- [데스크칼럼] 짧은 영상의 시대…‘숏폼’이 바꾼 스타트업 산업 지형도
- 과기정통부, 올해 R&D사업에 6조3000억원 투입
- 이음5G 주파수할당 신청, 온라인으로 된다
- 양자정보기술 국가표준 1호 제정…양자 산업화 기반 구축
- 韓·美 AI 프레임워크 상호호환성 확인…“유사하게 활용 가능”
- 올해 공시 대상 기업 정보보호 투자 총 2조1196억원
- 과기정통부, 핵융합 혁신연합 출범식…핵융합 산업 생태계 구축
- 정부, 비수도권 벤처투자 2배 늘린다…지역 창업 생태계 확장
- [데스크칼럼] 높아진 문턱…‘기술특례’ 상장을 둘러싼 말·말·말
- [데스크칼럼] 국회 스타트업 연구모임 ‘유니콘팜’에 대한 기대와 우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