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통상자원부가 올해 중견기업 전용 연구개발(R&D)에 지난해(350억원) 대비 크게 늘어난 534억원을 지원한다고 20일 밝혔다.
산업부는 지난해 대비 예산과 함께 신규 지원 과제는 31개로 지난해 9개 대비 많이 늘어나 중견기업의 연구개발에 새로운 활력을 불어넣을 것으로 기대했다.
주요 사업을 살펴보면 ‘월드클래스 플러스 프로젝트 지원’은 유망 중견기업을 세계적 기업으로 성장시키는 사업으로 10개의 신규과제를 선정한다. ‘중견-중소기업 상생형 혁신도약’은 공동 R&D와 성과공유를 지원하는 사업으로 탐색연구 5개와 R&D 5개 과제를 각각 선정한다.
‘중견기업-지역 혁신얼라이언스 지원’은 컨소시엄을 구성해 채용을 연계하는 R&D 사업으로 2개 과제를 선정한다. ‘중견기업-공공연 기술혁신챌린지’는 기업의 사업화 역량과 연구원의 기술역량을 연계한 협력형 R&D사업으로 5개 과제를 선정한다.
‘중견기업 재도약 지원’은 성장 정체 또는 중소기업 회귀 중견기업의 경쟁력 확보 지원사업으로 4개 과제를 선정한다. R&D 이외에 연구인력 채용을 지원하는 ‘중견기업 핵심연구인력 성장지원’ 사업도 진행된다.
산업부는 중견기업 전용 사업의 신규과제 모집을 이날부터 진행하고 21일부터 수도권을 시작으로 주요 권역별 통합설명회도 개최할 예정이다.
산업부 오승철 산업기반실장은 “대내외 경영환경이 악화하고 공급망 안정화의 중요성이 증가하면서 중견기업의 기술혁신을 통한 경쟁력 확보는 선택이 아닌 필수”라며 “특히 산업 간 융복합이 심화하는 상황에 여러 주체 간의 협업을 통한 연구개발이 동반성장, 상생협력 생태계 구축으로 이어질 수 있도록 첨단산업 분야의 협력기반 구축에 힘쓰겠다”고 밝혔다.
관련기사
- 산업부, 초광역 산학연협의체 출범식…9대 산업 25개 단지 본격 가동
- 하나은행, 수출 중소·중견기업 대상 2조원 규모 유동성 지원
- 친환경차 키운다…정부, 전기차 핵심 소부장 기술에 4,300억원 투자
- 지난해 외국인 직접투자 345억7000만 달러…최대 실적 재경신
- 고용·매출·자산 등 국내 중견기업 성장 성적표 ‘양호’
- 중진공, 2025년 中企 정책자금 내달 2일부터 접수 시작
- 지역 中企 기술사업화 지원…산업부, 지원펀드 1,080억원 규모 결성
- “트럼프 2기 출범…중견기업, 수출다변화 대응 전략 필요”
- 중기부, 유망기업 스케일업 지원 ‘도약 프로그램’ 100개사 모집
- “연구개발(R&D) 조세지원 강화로 민간 혁신 촉진에 힘 실어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