딥시크 R1 프리뷰 제공, SQL 함수·파이썬·REST API 지원
스노우플레이크가 생성형 인공지능(AI) 기반 애플리케이션 생성 도구인 ‘코텍스AI’에서 딥시크 R1 모델에 대한 지원을 시작한다고 발표했다. 딥시크 R1은 지도학습(SFT) 없이 대규모 강화학습(RL)만으로 훈련된 오픈소스 모델로, 높은 비용효율성의 특징으로 최근 주목받고 있다.
딥시크에 따르면, R1 모델은 자체검증, 스스로 답을 찾는 추론하는 사고체계(CoT), 추론 생성 등이 가능하며 폐쇄형 모델인 오픈AI의 o1 수준의 고급 추론, 수학, 코딩 성능을 발휘한다.
딥시크 R1 모델은 전세계 오픈소스 모델 중 리더보드 최상위권에 자리하면서 높은 관심을 입증하고 있다.
딥시크 R1은 스노우플레이크 코텍스AI를 통해 서버리스 추론에 사용할 수 있는 비공개 프리뷰 형태로 제공된다.
배치(SQL 함수)와 대화형(파이썬, REST API) 등을 통해 액세스할 수 있어 기존 데이터 파이프라인, 애플리케이션, 통합개발환경(IDE)에 쉽게 통합 가능하며, 스노우플레이크는 모델이 안전한 서비스 범위 내에서만 작동하고 고객 데이터가 모델 제공자와 공유되지 않도록 보장한다.
이번 비공개 프리뷰는 현재 미국 내 고객의 스노우플레이크 계정에서 사용할 수 있으며, 모델이 정식 출시되면 고객은 역할 기반 액세스 제어(RBAC)를 통해 딥시크 R1에 대한 접근을 설정해 거버넌스를 관리할 수 있다.
스노우플레이크 AI 연구팀은 “딥시크 R1의 추론 비용을 추가로 절감해 고객에게 더 큰 비용 대비 성능 효율성을 제공할 계획이다”라며, “딥시크 R1을 통해 기업은 최첨단 AI 기술을 기반으로 한 생성형 AI 애플리케이션을 보다 빠르게 제공함으로써 생태계에서 혁신의 새로운 표준을 제시하게 될 것”이라고 말했다.
관련기사
- 네이버, 사우디 ‘LEAP 2025’서 AI밸류체인 공개
- AWS, 딥시크 R1 서비스 개시…생성AI 활용 확장
- 국내 클라우드 시장, DT 가속화·생성AI 도입 수요로 성숙기 진입
- 빅테크 한 방 먹인 ‘딥시크 쇼크’…전세계 AI 시장 흔들었다
- 스노우플레이크, 코스콤과 ‘맞손’…금융권 AI 클라우드 기반 데이터 플랫폼 구축 협력
- 과기정통부, ‘국가AI컴퓨팅센터’ 구축 본격화
- 인공지능(AI)과 데이터 프라이버시 시대…CRM의 미래 톺아보기
- ‘아메리카 퍼스트’ 트럼프 2.0 시대 개막…무역 지평 변화 ‘주목’
- 스노우플레이크, AI 데이터 클라우드 플랫폼 공개
- 스노우플레이크, 내년 상반기 MS애저 서비스 개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