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 벤처투자 규모가 12조원까지 이뤄진 것으로 집계되면서 코로나19 이후 감소 추세를 벗어나 첫 반등에 성공한 것으로 나타났다.
13일 중소벤처기업부가 발표한 국내 벤처투자 및 펀드결성 동향에 따르면 2024년 벤처투자 규모는 총 11조9000억원으로 집계됐다. 이는 코로나19 이전인 2020년 대비 47.5% 늘고 전년비 9.5% 증가한 수치다.
글로벌 벤처투자는 2020년보다 17.1% 감소했고 전년비 0.1% 감소한 것으로 나타나 한국의 벤처투자시장은 글로벌 시장 대비 회복세가 뚜렷하다는 게 중기부의 분석이다.
분기별 벤처투자 실적을 보면 4분기 벤처투자 규모가 3분기 대비 5% 증가했고 최근 5년간 분기별 평균값인 3조원보다 10% 높은 값을 보였다.
업종별 투자에서는 인공지능(AI)에 대한 관심이 확대되면서 정보통신기술(ICT)서비스의 투자액이 전년비 38% 증가한 반면, 영상·공연·음반에 대한 투자액은 23.7% 감소했다.
2024년 펀드 결성액은 10조6000억원으로 2020년보다 5.7% 증가한 반면 글로벌 벤처펀드 결성규모는 52.6% 감소해 한국의 벤처펀드 결성은 글로벌 벤처펀드 결성 동향에 대비해 볼 때 비교적 견조한 흐름을 이어가고 있다고 중기부는 설명했다.
오영주 장관은 “지난해 우리나라 벤처투자 규모는 어려운 글로벌 시장상황 속에서도 꾸준히 성장하고 있다”며 “지난 10월 발표한 선진 벤처투자 시장 도약방안을 성실히 이행하고 현장의 목소리를 반영해 규제를 완화하는 등 세계 최고 수준의 벤처투자 생태계를 조성을 위해 노력하겠다”고 밝혔다.
관련기사
- 지난해 4분기 글로벌 VC 투자 1,086억 달러…AI 관련 기업에 집중
- SKT, MIT 주도 ‘생성AI 임팩트 컨소시엄’ 창립멤버로 합류
- 과기정통부, 4,940억원 규모 ‘과기혁신펀드’ 조성한다
- 중기부, 기술개발 지원사업 모집 공고…779개 과제 1,179억 규모
- ‘CES 2025’ 현장에 K-스타트업 통합관 개관
- [데스크칼럼] 짧은 영상의 시대…‘숏폼’이 바꾼 스타트업 산업 지형도
- 정부, “3년 내 유통기업 AI 활용률 10배 높인다”
- [데스크칼럼] 내달 20일, 트럼프가 온다…스타트업계 ‘악재일까 기회일까’
- 중기부, 싱가포르와 규제자유특구·혁신특구 상호 간 협력안 논의
- 카카오, 지난해 매출 7조8738억원…전년비 4.2% 증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