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용자 중심 서비스 혁신, 기술·서비스 역량 결집에 집중
카카오가 27일 핵심 사업별 역량 결집을 위한 조직 개편을 단행했다. 카카오톡 기반의 각종 사업 영역을 통합한 최고제품책임자(CPO) 조직을 신설하고 기술·서비스 영역으로 구분돼 있는 AI 조직을 단일화한 것이 이번 개편의 핵심이다.
카카오는 “카카오톡과 연계된 기술, 광고, 커머스, 디자인 등 핵심 사업 역량을 CPO 조직으로 통합했다. 카카오톡과 서비스 간 시너지를 극대화하고 사용자 중심의 혁신에 속도를 내려는 것”이라고 배경을 밝혔다.
신설된 CPO 조직은 토스뱅크 대표를 역임한 홍민택 CPO가 맡는다. 홍 CPO는 카이스트(KAIST) 산업공학 학사·석사를 졸업하고 인시아드(INSEAD)에서 경영학 석사(MBA) 학위를 취득했다.
토스뱅크 초대 대표로서 신규 시장 개척과 비즈니스 구조 혁신을 통해 흑자 전환, 1천만 고객 달성 등의 성과를 낸 서비스 전문가다.
AI 관련 조직도 개편했다. AI서비스와 개발을 각각 담당해 온 ‘카나나엑스’와 ‘카나나알파’를 단일 조직인 ‘카나나’로 통합했다. 영역 간 유기적 협업을 통해 서비스를 빠르게 선보임으로써 AI 대중화를 앞당기기 위해서다.
카나나 조직은 기존에 카나나알파를 이끌었던 김병학 성과리더와 카카오의 핵심 서비스 개발을 주도해온 김종한 성과리더가 공동으로 맡는다.
AI스튜디오도 신설하고 AI 신사업 기회 및 서비스의 기술 협력 기반을 마련하고 오픈AI를 포함한 파트너들과의 시너지를 도모한다.
카카오 정신아 대표는 “지난해 카카오는 내실과 본질 강화를 위해 기술 부채 해결과 사업 경쟁력 확보에 주력했다”며, “그 성과를 바탕으로 올해에는 카카오톡과 AI라는 핵심 사업 중심의 비즈니스 성장을 본격 추진할 것”이라고 밝혔다.
관련기사
- MS365 코파일럿, 26개 금융사 내부망 사용 허용
- 오픈AI, AI에이전트 ‘딥리서치’ 모든 유료 구독자 대상으로 확대
- 애플, 美텍사스주에 AI서버 공장 설립한다
- 스노우플레이크, AI 에이전트 ‘코텍스에이전트’ 출시
- 네이버, 하이퍼클로바X 모델 업데이트…“저비용·고성능 AI 엔진”
- 카카오, 지난해 매출 7조8738억원…전년비 4.2% 증가
- [데스크칼럼] ‘가성비 AI’ 딥시크의 출현, 韓스타트업에 숙제·기회 던졌다
- 머스크, 오픈AI 인수 제안…테슬라 주가는 5일 연속 하락세
- ‘스타게이트 프로젝트’ 언급한 佛마크롱…“AI에 1천억 유로 투자”
- 오픈AI, 최신 AI 모델 GPT-4.5 공개…“비지도 학습 최강 모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