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비스 품질보장·이중연결성 기술 적용
국내 연구진이 사용자의 서비스 체감 품질을 보장하면서 최대 4Gbps를 제공하는 5G 스몰셀 기지국 소프트웨어(SW) 개발에 성공했다.
한국전자통신연구원(ETRI)은 사용자의 서비스 품질보장(QoS) 기술, 이중연결성(Dual Connectivity) 기술을 활용해 다운로드 속도 4Gbps를 지원하는 5G 스몰셀 기지국 SW를 개발했다고 4일 밝혔다.
이 기술이 상용화되면 통신이 원활하지 않은 밀집된 환경에서도 손바닥만 한 크기의 스몰셀로 100명이 동시에 40Mbps의 속도로 안정적인 통신을 이용할 수 있다. 연구에는 유캐스트, 퀄컴, 콘텔라, 한화시스템, SK텔레콤 등이 공동연구기관으로 참여했다.
기존 이동통신 기지국이 넓은 지역을 커버하는 반면 스몰셀은 좁은 범위에서 고속·고품질의 데이터 서비스를 제공하는 특성이 있다.
ETRI 연구진은 “이번에 개발한 서비스 품질보장 기술 덕분에 다수의 사용자가 동시에 서비스를 이용하더라도 영상통화, 실시간 스트리밍, 로봇 원격 제어 등 특수 서비스의 품질을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ETRI는 “이번 연구에서 5G 밀리미터파 스몰셀을 활용한 이중연결성 기술을 적용했다”며 “5G 특화망에서 데이터 전송 속도를 향상시키는 것은 물론 네트워크 안정성도 높일 수 있을 것”이라고 밝혔다.
특히 연구진은 이번 성과가 5G 단독망(SA) 서비스의 활용도를 높이는 데 기여할 것으로 기대했다.
ETRI는 이번 연구에서 서비스 품질보장 기술 외에도 ▲이중연결성 기술 고도화 ▲Sub-6GHz 대역에서의 4x4 다중입출력(MIMO) 지원 ▲스몰셀 네트워크 자동 치유 기술 ▲사용자 위치 기반 에너지 절감 기술 등 성과도 선보였다.
ETRI는 5G 스몰셀 모뎀 기술을 보유한 퀄컴과 국제 공동연구를 통해, 상용 환경에서도 활용할 수 있는 스몰셀 통신 SW를 독자적으로 개발했다.
지난해 12월에는 국내외에서 시판 중인 5G 단말과의 상호 호환성 검증도 완료해 즉시 상용화가 가능한 상태다. 이 기술은 퀄컴 모뎀뿐만 아니라 다양한 종류의 5G 모뎀과도 호환성을 검증받았다.
ETRI 백용순 입체통신연구소장은 “5G 스몰셀 SW 기술개발로 이동통신 기술의 국내 산업 경쟁력이 강화됐다. 이 기술은 원천 기술 특징을 갖고 있어서 미래의 이동통신 기술인 6G, 오픈랜 등에서 다양하게 활용할 수 있는 것으로 기대한다”고 밝혔다.
ETRI 나지현 지능형스몰셀연구실장은 “5G 스몰셀 SW 기술 고도화로 사용자 서비스 품질 맞춤형 서비스를 할 수 있게 됐으며, 이중연결성 기술이 제공됨에 따라 더 높은 데이터 전송 속도 제공이 용이해졌다”며 “이 기술을 5G 특화망에서 활용하는 경우 다양한 서비스 사례를 만들 수 있다”고 말했다.
관련기사
- ETRI, ‘MWC 2025’서 6G·위성통신·국방 부문 최신 연구성과 공유
- KT, 5G 유심망 하이브리드 양자암호 네트워크 국내 최초 적용
- ETRI, ITU-T SG20 의장단 7석 수임…시티버스 신규 권고안 승인
- 퀄컴, 스냅드래곤6 4세대 모바일 플랫폼 공개
- 지난해 가장 많이 팔린 스마트폰은 애플 ‘아이폰15’
- 국내 연구진, 고압 분사 방식 2리터급 친환경 암모니아 엔진 개발
- ETRI, 오픈랜 기반 NTN 기술 국제표준 주도
- 피코콤 PC802 SoC, 웨이브일렉트로닉스 오픈랜 장비에 탑재된다
- ETRI, 이중연결성 3Gbps 5G 스몰셀 SW 개발
- 레드햇, KDDI와 ‘맞손’…오픈랜 운영 간소화 협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