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성·에릭슨·노키아 협력, AI 연산-통신 동시 처리 가능
SK텔레콤이 삼성전자와 에릭슨, 노키아 등과 협력해 이동통신망 고도화를 위한 핵심 기술인 차세대 가상화 기지국을 상용 환경에서 실증하는데 성공했다.
17일 SK텔레콤에 따르면, 실증에서 실내외 상용망에 차세대 가상화 기지국을 구축하고 기존 가상화 기지국 대비 서비스 품질과 용량, 전력 효율 등 핵심 성능의 개선 수준을 종합적으로 검증·확인했다.
삼성전자와 에릭슨, 노키아 등 글로벌 제조사의 차세대 가상화 기지국을 실제 실내외 환경에서 모두 실증한 것은 국내 통신사 중 첫 사례라고 SK텔레콤은 설명했다.
가상화 기지국은 범용 서버에 필요한 소프트웨어(SW)만 설치하면 제조사에 관계없이 구현이 가능해 이동통신과 AI의 결합인 ‘네트워크AI(Network AI)’ 실현의 핵심 기술로 꼽힌다.
과거 기지국 전용 하드웨어(HW)에 동일 제조사의 소프트웨어로(SW)만 구성되어야 했던 구조보다 개방성과 유연성이 향상된 것이 특징이다.
SK텔레콤은 이번에 가상화 기지국의 핵심 요소인 가속기 구조 진화를 통해 전력 소모를 줄이고 데이터 처리 효율을 개선한 차세대 가상화 기지국을 개발해 실증에 활용하며 효율성과 경제성도 높였다.
개방형 프론트홀 기반으로 삼성전자의 차세대 가상화 기지국과 국내 네트워크 장비 전문기업 에치에프알(HFR)의 무선 장치를 오픈랜(O-RAN) 표준에 따라 연동하고 이를 실제 실내 사무공간에 적용해 성능을 검증하는데도 성공했다.
SK텔레콤은 통신 서비스와 AI 워크로드를 동시에 구현할 수 있는 최적의 AI기지국(AI-RAN) 구조를 도출하기 위해 GPU를 포함한 다양한 칩셋 기반의 기지국 장비와 가상화 자원분배 기술 연구도 추진하고 있다.
올해 MWC 2025 현장에서는 GPU 기반 가상화 기지국의 초기 벤치마킹 결과와 AI기지국에서 무선통신의 성능 저하 없이 AI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하는 연산 자원 관리(Orchestration) 기술 등 네트워크AI 관련 연구성과를 공유하기도 했다.
류탁기 SK텔레콤 인프라기술본부장은 “이번에 상용 환경에서 실증한 가상화 기지국은 SK텔레콤의 차세대 인프라 구조 진화 비전인 네트워크AI를 실현하기 위한 핵심 기술”이라며, “활발한 연구개발과 글로벌 파트너사들과의 협력을 통해 미래 네트워크 구현에 앞장서겠다”라고 밝혔다.
관련기사
- 국회 과방위, LGU+ AI기술 시연 참관…“3대 강국 도약 지원하겠다”
- LGU+ 홍범식 “AX 중심 성장동력 확보, 주주가치 제고에 집중”
- 국내 연구진, 중계기 없이 실내통신 가능한 RIS 기술 개발
- AWS, 텔코 타깃 ‘AWS 아웃포스트 랙·서버’ 제품군 공개
- ETRI, 4Gbps 지원 5G 스몰셀 기지국 SW 개발
- SKT, ‘MWC 2025’서 AI기지국·AI라우팅 기술 시연
- KT·에릭슨, 저대역 주파수용 멀티무선 다중입출력 기지국 연구 ‘맞손’
- 탄소배출량 최대 50% 절감…에릭슨, 새로운 ‘랜 커넥트’ 제품군 공개
- 위성통신 환경 단점 극복…KT, 5G NTN 기술시연 성공
- SKT, ‘플러그페스트 2024’서 텔코 에지 AI 관련 연구성과 공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