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세계 수소열차 시장 성장 전망 [사진=국토부]
전세계 수소열차 시장 성장 전망 [사진=국토부]

국토교통부가 수소열차 상용화를 위해 기존 운영 노선에 수소 인프라를 구축하고 수소열차를 시범 운행하는 ‘수소전기동차 실증 R&D 사업’에 착수했다.

2027년까지 총 321억원이 투입되는 이 사업은 한국철도공사가 주관기관으로 참여한다. 이를 통해 2022년 국가 연구개발로 확보된 수소전기동차 핵심기술이 현장 실증을 거쳐 조기 상용화될 수 있도록 추진한다.

수소열차는 수소저장용기에 저장된 수소를 연료전지에 공급해 전기를 생산하고 전동기를 구동해 추진력을 얻는 미래형 친환경 열차다. 전차선을 통한 외부 전력 공급이 필요 없어 전철화가 어려운 비전철노선 지역에서도 철도 접근성을 획기적으로 개선할 수 있다. 

디젤열차 대비 에너지 효율이 2배 이상 높고 탄소배출이 없어 노후 디젤열차를 수소열차로 대체할 경우 경제적·환경적 비용을 크게 절감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이같은 장점으로 전세계 수소열차 시장은 연평균 25% 이상 성장해 2035년에는 264억달러 규모에 이를 것으로 전망되며 세계 각국도 시장 선점을 위해 수소열차 개발과 상용화에 나서고 있다.

이번 실증사업은 수소열차의 글로벌 경쟁력 확보와 조기 상용화를 위해 수소열차 운영 전반에 필요한 기술적·제도적 기반을 마련하는 것을 목표로 추진된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먼저 출력 1.2MW, 최고운행속도 150km/h(설계속도 165km/h), 1회 충전 주행거리 600km 이상의 성능을 갖춘 수소전기동차 1편성을 제작하고 형식승인 등 안전성 검증을 거쳐 실증 노선에서 시범운행한다.

또 현재 운영 중인 비전철 노선에 수소 충전소와 차량 검수 시설 등 수소열차 인프라를 구축하고 수소전기동차와 함께 운영해 운행 시설의 성능과 적합성을 검증한다. 수소열차의 원활한 도입을 위해 수소열차 기술기준과 운영·관리 규정도 마련하고 수소열차 지원을 위한 각종 제도 개선과 불합리한 규제 해소도 함께 추진한다.

정의경 철도안전정책관은 “K-수소열차가 글로벌 시장을 선점하고 미래 철도산업의 새로운 성장동력으로 자리잡을 것”이라며 “노후 디젤열차가 수소열차로 빠르게 대체되면서 수소열차 핵심 부품과 인프라 등 전후방 연계산업이 활성화되고 수소 모빌리티 산업생태계 확충에도 기여할 것”이라고 말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ITBizNew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