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신 기반 자율협력주행 3종 개발
한국전자통신연구원(ETRI)이 이기종 차량용 통신(V2X) 기반 차세대 협력주행 통신기술 개발을 본격 추진한다고 밝혔다. 차량간 실시간 소통 뿐 아니라 도로 인프라, 이동통신 네트워크와의 협력해 보다 정밀하고, 안전한 자율주행을 가능하게 하는 것이다.
ETRI는 일반차량, 보행자, 커넥티드(자율주행) 차량에 끊김 없는 연결성을 제공하는 통신기술을 바탕으로 ▲협력주행 ▲협력인지 ▲원격제어 등 3가지 자율협력주행 서비스를 개발한다.
차량과 차량(V2V), 차량과 인프라(V2I), 차량과 보행자(V2P), 차량과 네트워크(V2N)를 하나의 통합 플랫폼으로 연결해 레벨 4+ 자율주행서비스를 지원할 수 있는 통신·서비스 개발이 목표다.
차량, 신호등, CCTV, 보행자(스마트폰) 등 서로 다른 통신 방식을 쓰는 다양한 인프라간 실시간 데이터 공유를 가능하게 하는 ‘이기종 융합 네트워크 기반 서비스 플랫폼’이 핵심이다.
구체적으로 ▲이기종 네트워크간 끊김 없는 서비스를 제공하는 통신장치(OBU) ▲이기종 네트워크 기반 자율주행시스템 ▲자율협력주행서비스를 위한 엣지/인프라 서버 ▲원격관제 시스템 ▲보행자와 일반차량용 애플리케이션 등을 개발할 예정이다.
특히 이번 연구에서는 차량이 가변하는 네트워크 성능에 적합한 화질의 영상 정보를 전송하고 도로 인프라·서버가 이를 기반으로 분석·판단해 다시 차량에 제어 신호를 보내는 양방향 실시간 통신·차량제어 기술이 적용된다.
예를 들어, 교차로 인근 차량이나 인프라가 교통사고 위험에 노출된 보행자 혹은 교통사고 등을 인식하면 이 정보를 주변 차량에 실시간 공유해 차량들이 사전 감속하거나 정지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형태다.
나아가 5G, LTE, 와이파이(Wi-Fi), 특화망(KREONET) 등 다양한 무선망 환경에서도 유기적으로 확장·적용할 수 있도록 설계하고 차량의 이동 속도, 통신 지연 시간, 영상 품질 등 복합적인 조건에서도 안정적인 협력주행이 가능하도록 인공지능(AI) 기반 네트워크 최적화 기술 및 지능형 엣지서버 기술도 함께 개발할 계획이다.
ETRI 최정단 AI로봇연구본부장은 “이번 연구는 단순한 차량 자율주행 기술을 넘어 도시 전체를 연결하는 ‘협력형 스마트 모빌리티’의 기반이 될 기술이다. 사람 중심의 안전하고 효율적인 교통 생태계를 조성하는 첫걸음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이번 연구개발은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정보통신기획평가원(IITP), 자율주행기술개발혁신사업단(KADIF)의 지원을 받아 추진된 ‘자율주행을 위한 이기종 V2X 심리스(Seamless) 통신 기반 자율협력주행 기술개발’의 일환으로 2027년 말까지 진행된다.
관련기사
- ETRI, 6G 표준 기반 저궤도 위성통신 시스템 개발 총괄
- 웨이모, 로보택시 생산량 2배 늘린다…내년까지 2천대 추가 운용
- 엔비디아, 에이전틱 AI·추론 모델 혁신 가속
- ETRI, 자폐스펙트럼장애 조기 선별 AI기술 개발
- 中 기술패권 경쟁 대응…美 자율주행 규제 대폭 완화한다
- “사진 한 장으로 초실사 AI아바타 생성 가능”
- 현대모비스, 美 디트로이트서 투자설명회…유망 스타트업 발굴·협력 확대
- 카카오모빌리티, 자율주행 AI 데이터 기술 개발 공로 ‘과기부장관상’ 수상
- SW R&D 허브로 육성…현대모비스, 인도에 통합 R&D센터 개소
- KOSA, 자동차모빌리티산업협회와 MOU…미래차 시장 선도 ‘맞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