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모비스가 차량용 소프트웨어(SW) 연구개발에 특화된 전략거점으로 인도연구소를 확대 운영한다.
현대모비스는 인도의 실리콘밸리로 불리는 텔랑가나주 하이데라바드에 SW 전문 연구거점을 통합 개소했다고 7일 밝혔다.
현대모비스는 앞서 2007년 인도연구소를 설립한 이래 2020년에는 제2 연구소를 구축·운영해왔다. 최근 수년간 SW 연구개발 인력이 늘어나자 이들을 추가 수용하고 분산된 연구거점을 통합해 시너지를 극대화하고자 대규모 연구시설을 새로 마련했다고 현대모비스는 설명했다.
하이데라바드 중심부에 위치한 통합 연구거점의 연면적은 약 2만4000㎡로, 글로벌 주요 IT기업들이 밀집한 상업지역에 위치해 우수 SW인재 확보가 용이한 입주 조건을 갖췄다. 10층 규모의 건물에는 연구공간과 데이터센터, 시험실과 교육실, 협력사 업무공간, 임직원들의 휴게 시설 등이 들어섰다.
현대모비스가 SW 통합 연구거점을 구축한 배경은 급성장하는 인도 자동차 시장과 맞물려 있다. 글로벌 조사 기관에 따르면 인도 신차 판매량은 520만대 수준으로 세계 3위 규모이며 오는 2028년 연 판매량 약 620만대 규모로 성장할 것으로 예상된다.
특히, 인도 자동차 시장이 과거 소형차 중심에서 스포츠유틸리티(SUV)나 전기차(EV) 판매량이 증가하면서 대형 디스플레이나 첨단운전자보조시스템(ADAS) 같은 자율주행 2단계 신기능 적용이 활발해지는 추세다.
현대모비스는 인도연구소를 글로벌 수주 확대를 위한 전략 요충지로 부상시키기 위해 공을 들이고 있다. 인도연구소의 풍부한 SW 개발인력을 바탕으로 제품 원가 경쟁력과 성능, 품질과 기술을 견인하는 연구개발 허브로 육성한다는 방침이다.
현대모비스는 하이데바라드 인도연구소 인근 차량용 SW 업체와 협업해 외부 생태계를 조성하고 우수 인재들을 지속적으로 채용할 계획이다. 인도연구소를 독자적인 사업역량을 갖춘 글로벌 SW 허브로서 육성하고 해외 완성차를 대상으로도 통합솔루션을 제공하는 전진기지로 활용한다는 목표다.
앞으로 현대모비스는 신규 제품 개발 초기 단계부터 인도연구소의 참여를 늘리고 현지 차종의 SW는 자체 개발하며, 인공지능(AI) 도입을 통한 생산성 효율화를 중점 추진하는 등 인도연구소의 SW 연구개발 범위를 확대한다는 방침이다.
현대모비스 인도연구소장 이종근 상무는 “인도연구소는 개발자 풀이 넓어 새로운 연구개발 시도가 많이 이뤄지는 곳”이라며, “20여년에 가까운 양산차종 개발 경험을 바탕으로 SW 고도화를 촉진하고 제품경쟁력 향상에 이바지하겠다”고 밝혔다.
한편 현대모비스는 국내 용인 마북연구소와 의왕연구소를 포함해 인도, 독일, 중국 등 총 4개국에 해외연구소를 운영하고 있다.
올해는 미국 실리콘밸리에 반도체 연구관련 거점을 신설하고 기존 디트로이트 북미연구소와 자율주행 요소기술을 개발한다. 독일 프랑크푸르트 유럽연구소는 자율주행 센서 관련 기술을 개발하고 중국 상해연구소는 현지에서 생산되는 모듈·제동·조향부품의 실차 평가와 설계 개선을 담당하고 있다.
관련기사
- 완성품 품질 예측 시간 최대 99%까지 단축…LG전자 ‘AI기술’ 개발
- LG전자, 美 패스트컴퍼니 ‘2025년 자동차 부문 혁신기업’ 선정
- 모빌리티 패러다임 선도…현대모비스, 새 기업 비전 공개
- SK하이닉스, 메모리 업계 최초 완성차 정보보안 인증 ‘TISAX’ 획득
- 日 ‘오토모티브월드 2025’ 전시회 성료, 8만5000여명 현장 찾았다
- 팝콘사, 국내 전장기업 최초 AWS 파트너 획득…日시장서 입지 확대
- 퀄컴, 현대모비스와 차량용 HPC 플랫폼 개발
- 日혼다·닛산 합병 추진…전세계 3위 완성차OEM 등장 초읽기
- 현대모비스, “최근 3년간 3천건 특허출원…950여건은 친환경차 분야”
- 소리로 품질검사 한다…현대모비스, 어쿠스틱 AI 시스템 창원공장에 도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