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버트 앳킨슨 ITIF 회장 “기술혁신 전략 필요한 시기”
미국 기술혁신 최고 싱크탱크로 꼽히는 정보기술혁신재단(ITIF)의 로버트 앳킨슨 회장이 한국은 미국의 보호주의 정책에 대응해 수출 중심 경제성장에 더해 기술혁신을 바탕으로 한 전략이 필요하다고 제언했다.
앳킨슨 회장은 22일 대전 유성구 카이스트(KAIST)에서 열린 ‘국가전략기술 혁신포럼’에 기조연설자로 참여해 이같이 밝혔다고 과기정통부가 전했다.
국가전략기술 육성은 인공지능(AI), 양자, 바이오 등 핵심 기술 선점을 위한 국제 기술패권 경쟁이 심화되고 있는 상황에서 경제 성장 뿐 아니라 과학기술혁신에도 중요한 과제로 부상하고 있다.
이번 포럼은 심화되고 있는 국제 기술패권경쟁과 미국 트럼프 행정부 2기 출범에 따른 한·미 당국의 기술정책 동향과 전략을 분석하고 과학기술협력을 강화하기 위한 자리로 마련됐다.
로버트 앳킨슨 회장은 ‘트럼프 2.0 시대, 한국의 새로운 성장 전략’을 주제로 한 기조연설에서 “트럼프 행정부의 신고립주의·보호주의 정책은 더 이상 세계질서의 파수꾼 역할이 아닌 자국의 문제 해결에 집중하겠다는 뜻으로 해석이 가능하다”며 “이에 대응해 한국은 수출 중심의 경제성장 모형에 더해 기술혁신을 바탕으로 한 전략이 필요하다”고 제언했다.
이를 위해 기업 규모에 따라 임금, 복지 혜택 등이 달라지는 이중구조 해소와 함께 혁신을 가로막는 규제의 개선, 첨단기술 기반 창업 지원 등도 제안했다.
‘한·미 과학기술협력’ 분과에서 스티븐 에젤 정보기술혁신재단 부회장은 미·중 무역갈등이 위기이자 국가성장 전략을 재정비할 기회라고 말하며 기술협력 강화를 위한 전략적 방안을 제시했다.
송경진 아시아재단 한국본부 대표는 한·미 행정부 간 교류를 넘어 의회, 산업계, 학계 등 파트너십 구축의 필요성을, 정재민 한국과학기술원 인문사회융합과학대학장은 인간·사회·문화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한 책임 있는 기술 발전의 중요성을 각각 강조했다.
‘주요 세부기술 분야의 한·미협력’ 분과에서는 12대 국가전략기술 중 차세대 원자력, AI-반도체, 차세대 소재인 그래핀을 중심으로 연구개발 동향과 현안 쟁점을 분석하고 한·미 협력에 관한 기술 분야별 논의가 이어졌다.
유상임 장관은 “기술이 경제·안보·외교를 넘어 국가의 명운을 좌우하는 시대에서 미래성장동력과 인재양성, 기술사업화의 모든 측면에 대한 강력하고도 지속적인 노력이 필요하다”며 “과기정통부는 과학기술혁신의 주무 부처로서 범부처와 민간기업, 정보기술혁신재단 등 세계적 싱크탱크와도 협력해 기술 경쟁력을 세계 최고 수준으로 강화하겠다”고 밝혔다.
관련기사
- 과기정통부, 2025년 XaaS 사업 착수…의료·제조·물류 등 16개 과제 선정
- 14개 SW 협·단체, 더불어민주당 캠프에 ‘AI·SW 강국’ 정책 제안
- SKT 해킹 사태…민관 합동 조사단 “서버 총 23대 감염 확인”
- 정부 ‘ICT R&D 관리규정’ 개정…AI·디지털 기업 참여 여건 개선
- 과기정통부, ‘2026년도 R&D 사업 예산’ 설명회…내달까지 배분·조정안 마련
- 이달 양자 연구거점 사업단 2곳 출범한다
- 경제 질서의 지각 변동…“공급망·규제·기술 등 전방위 재정비해야”
- IMF “올해 경제성장률 2.8%”…관세전쟁으로 세계경제 타격 ‘경고’
- 트럼프발 관세전쟁…‘새우등’ 빅테크는 ‘불똥튈까’ 전전긍긍
- 산업 R&D 전략기획단 새 출범…단장에 김현석 전 삼성전자 대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