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성능 양극재 개발 노하우 접목, 전지소재 경쟁력 제고
엘앤에프가 국가과학기술연구회(NST) 산하 한국화학연구원과 차세대 양극재 개발을 위한 상호 간 협력을 골자로 하는 업무협약을 체결했다고 28일 밝혔다.
이번 협약은 화학연이 총괄하는 ‘시장선도형 차세대 이차전지 혁신 전략연구단(K-BIC)’ 과제의 일환으로 추진됐다.
25일 대전에 위치한 화학연 본원에서 열린 협약식에는 엘앤에프 장성균 최고생산책임자(CPO)와 전상훈 연구소장, 화학연 이영국 원장과 김명환 단장 등 주요 관계자들이 참석했다.
협약에 따라 엘앤에프는 하이니켈 NCM, NMX, LFP 등 기업 핵심 양극재 샘플을 제공하고 화학연은 이에 대한 양극재 성능 검증 및 평가를 담당하는 역할 분담으로 본격적인 공동 연구에 나선다.
또 양측은 상호 기술 교류를 통해 각각의 전문성을 공유하며 엘앤에프의 고도화된 양극재 기술 역량과 화학연의 기초소재 설계 및 분석 인프라가 결합돼 차세대 양극재 소재 시장에서 엘앤에프의 기술 주도권 확보에 속도가 붙을 것으로 기대된다
양측은 앞으로 구체적인 연구 추진 방향을 설정하고 지속적인 기술 교류를 통해 체계적인 협업 체계를 마련해 나갈 예정이다.
특히 화학연의 ‘기관 주요사업’ 및 ‘글로벌 TOP 과제’ 수행과 연계해 양극재 샘플에 대한 성능 분석을 통해 차세대 이차전지의 상용화 시기를 앞당기고, 궁극적으로 국내 배터리 생태계 전반의 글로벌 경쟁력 강화에 기여할 것으로 엘앤에프는 기대했다.
장성균 엘앤에프 최고제품책임자(CPO)는 “이번 협약은 엘앤에프의 고도화된 양극재 기술과 화학연의 기반 기술 간 유기적 협력으로 차세대 전지소재 시장을 선도할 수 있는 중요한 이정표가 될 것”이라며 “지속적인 기술 교류와 공동연구를 통해 글로벌 고객사 대응 역량을 높여 나가겠다”고 밝혔다.
관련기사
- LG엔솔 2분기 실적발표, 영업익 4,922억원 전년동기비 152% 증가
- 트럼프 감세법 여파…韓 전기차 미국 판매 최대 19억 달러 감소 우려
- SK온, 북미 ESS 시장 정조준…엘앤에프와 LFP 양극재 공급 협약 체결
- 엘앤에프, 자체 개발 생성AI 챗봇 도입…전사 DT프로젝트 본격화
- 산업부, AI 공동활용 인프라 구축과제 공모
- 반도체 최고액 수출에도 5월 수출 1%대 감소
- 산업부, 산업 AI 개발·확산 목표 445개 과제 4,787억원 투입
- SK온·UNIST, e-SKB 산학 협동과정 연장 협약…인재 양성 협력 강화
- RMI 가입한 엘앤에프, “ESG경영 강화…글로벌 공급망 경쟁력 확보”
- “하이니켈 양극활물질로 성장 도모”…엘앤에프, LFP 신성장 전략 공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