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운터포인트 집계, 3나노 공정 매출 전년비 600% 성장

올해 전세계 파운드리 시장 규모가 전년보다 17% 성장할 것이라는 전망이 나왔다. 사진은 대만 신주 소재 TSMC 오피스 [사진=로이터]
올해 전세계 파운드리 시장 규모가 전년보다 17% 성장할 것이라는 전망이 나왔다. 사진은 대만 신주 소재 TSMC 오피스 [사진=로이터]

전세계 파운드리 시장 규모가 올해 1,500억달러를 돌파하며 새로운 이정표를 쓸 것으로 기대된다. 인공지능(AI) 붐에 따른 막대한 수요가 파운드리 시장 성장의 견인차로 작동하면서 괄목 성장을 이끌어낸다는 것이다. 

30일 카운터포인트리서치의 분기별 파운드리 시장 업데이트에 따르면, 글로벌 순수 반도체 파운드리 산업 매출은 올해 1,650억달러(229조3500억원)에 이를 것으로 전망된다. 이는 전년보다 17% 성장할 것이라는 예측이다. 

AI 대두에 따른 고성능 반도체 수요가 파운드리 성장을 뒷받침하는 요소로, 카운터포인트는 3나노(nm)와 5/4나노 공정이 매출 성장을 견인하는 핵심 요소로 작용하고 있다고 평가했다.

3나노 공정의 매출은 전년비 600% 이상 증가한 300억달러 규모로 성장하고, 5/4나노 공정은 노드 마이그레이션의 증가에 힘입어 400억달러대로 뛰어오른다는 것이다. 

이러한 급증은 프리미엄/플래그십 AI스마트폰의 기술 마이그레이션을 지원하는 최첨단 기술에 대한 업계의 집중과 NPU 기반의 AI PC 솔루션 증가, AI ASIC, GPU, 고성능 컴퓨팅(HPC) 솔루션에 대한 수요 증가에 기인한다.

카운터포인트는 2나노가 도입되면, 수익 구성이 고급 노드 수익 쪽으로 더 빠르게 이동해 2027년에는 2나노만으로도 수익 구성의 10% 이상을 차지하게 될 것으로 전망했다. 

윌리엄 리 카운터포인트 수석애널리스트는 “2나노 노드는 올해 전체 매출의 약 1%를 차지하지만, TSMC가 대만에서 신규 생산 능력을 확대함에 따라 빠르게 성장해 2027년까지 전체 매출의 10% 이상까지 증가할 것”이라며 “2나노 노드는 향후 5년 동안 가장 오래 지속되고 영향력 있는 노드 중 하나가 될 것”이라고 말했다. 

전세계 파운드리 시장 전망 [source=counterpoint]
전세계 파운드리 시장 전망 [source=counterpoint]

주요 기업별로 살펴보면 첨단 노드 부문에서 TSMC가 가장 큰 수혜를 입었지만, 삼성과 인텔이 TSMC의 뒤를 바짝 쫓고 있다.

나머지 노드 부문에서는 글로벌파운드리, SMIC, UMC가 첨단 노드의 성장 속도를 따라가지 못하더라도 견조한 수요를 유지하고 있다고 카운터포인트는 설명했다. 

한편, 20~12나노급은 안정적으로 유지돼 전체 수익의 7%를 차지하지만, 고급 노드로 이전이 계속됨에 따라 2021년 54%에서 2025년 36%로 감소할 전망이다.

그렇지만 전체 파운드리 시장 성장에 힘입어 20~12나노 노드 매출은 4년 전과 거의 비슷한 수준이 유지되며, 28나노 공정이 성숙 노드 중 유일하게 5%의 연평균 성장률을 기록하며 성장세를 보일 것으로 카운터포인트는 전망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ITBizNew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