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30년까지 연 매출 5조 이상 달성 목표
SK텔레콤이 전사 인공지능(AI) 역량을 결집해 속도감 있는 혁신 추진을 위해 AI 사내법인(CIC)을 출범하기로 했다.
유영상 대표는 전날(25일) 열린 전 구성원 대상 타운홀 미팅에서 “급변하는 AI 환경 변화에 따라 위기와 기회가 공존하는 AI 골든타임을 놓치지 않기 위해서는 수요자 관점의 내부 AI 혁신과 공급자 관점의 AI 사업 혁신이 필요하다”며 “이를 위해 전사 AI 역량을 결집한 정예화된 조직 체계인 AI CIC를 새로 출범시킨다”고 배경을 밝혔다.
새로 출범하는 AI CIC는 SKT AI 사업의 주체이자 나아가 SK그룹 전체의 AI 사업을 이끄는 핵심으로 삼고, 사내 시스템과 조직 문화, 구성원 AI 역량 강화 등 내부 AI혁신(AX)도 함께 추진할 계획이다.
SK텔레콤은 ▲에이닷 서비스 ▲기업 대상 에이닷 비즈 서비스 ▲AI데이터센터(AI DC) 사업 ▲글로벌 AI 제휴투자 ▲AI R&D ▲메시징/인증 사업 등 기능과 조직을 AI CIC 체제로 재편해 사업 생산성과 효율성을 높이는 AI 혁신에 나선다. 대표는 유영상 CEO가 겸임하고 세부 조직 개편은 10월 말 시행된다.
새로 출범하는 AI CIC는 환경 변화에 유연하고 민첩하게 대응하기 위한 빠르고 가벼운 조직 체계를 갖추고 구성원의 실력을 바탕으로 성과 지향과 지속적인 도전을 장려하는 조직문화를 구축하게 될 예정이다. 향후 5년 간 약 5조원 규모의 AI 투자를 단행해 오는 2030년까지 연 매출 5조원 이상을 달성한다는 목표다.
이를 위해 AI ‘수요(AI B2C/AI B2B)’와 ‘공급(AI인프라)’의 안정적 선순환을 통해 독자 생존 가능한 수익 구조를 확보할 예정이다.
AI B2C는 에이닷을 중심으로 국내외 가입자 기반을 확대해 지속 가능한 수익구조 확보에 집중하고, AI B2B는 에이닷 비즈 등 에이전틱AI 서비스를 통한 생산성 향상 입증 및 제조AI 분야 레퍼런스를 확보할 계획이다.
AI DC 사업은 글로벌 빅테크를 타겟으로 AI DC 유치 및 정부 사업 주도를 통해 국내 최고 수준의 AI DC 사업자로 자리매김한다는 방침이다.
분산돼 있는 AI 기술자산의 통합 및 결집을 통해 SK텔레콤을 비롯한 SK그룹 전체의 AI기술/운영을 지원하는 AI 플랫폼 역할을 강화하고, 정부·산업·민간의 다양한 AI 니즈 대응을 위한 유연한 AI 모델 확보 전략도 함께 추진할 계획이다.
유 대표는 “AI CIC는 서비스와 플랫폼, AI DC, 독자 파운데이션 모델 등 AI 전 분야에 걸쳐 대한민국을 대표하는 AI 사업자로 자리매김할 것”이라며, “국내 AI 관련 생태계 구축에 중심 역할을 담당하는 한편 국가 AI 전략의 성공에 기여하는 기업이 되겠다”고 밝혔다.
한편 유 대표는 AI CIC를 통해 AI 공급자 입장에서 빠른 속도와 높은 효율로 AI 사업을 혁신함과 동시에 수요자 입장에서 전사 시스템, 조직 문화, 구성원 역량 강화에 AI를 도입해 경쟁력을 높이는 내부 AX 방안도 공유했다.
먼저 AI 역량을 보유한 구성원들을 조직 전반에 균형 있게 배치함으로써 전사 AI 역량 강화를 추진하고 구성원 개개인의 커리어도 확장하는 시너지 효과를 창출한다는 계획이다.
또 AI/DT를 기반으로 전사 시스템·인프라 측면의 AX를 가속화한다. MNO 사업은 주요 업무 프로세스 최적화·자동화 및 온/오프라인 고객 접점 혁신을 이루고, 네트워크 사업은 N/W 운영 자동화 향상, 지능형 N/W 기반 서비스 안정성 제고 등 AX 기반의 업무 혁신을 추진한다.
유 대표는 보안 혁신, 본원적 경쟁력 혁신(O/I) 등 3대 혁신 과제를 통해 SK텔레콤이 고객의 신뢰를 회복하고 재도약하는데 힘을 모을 것을 구성원들에게 당부했다.
보안 영역에서는 지난 7월 발표한 정보보호 혁신 방안을 중심으로 보안 거버넌스 강화, 제로 트러스트 정보보호 체계 구축 등 기술 및 시스템 강화와 함께 정보보호 조직·인력 확대, 국내외 보안 전문가와 기관 자문 프로세스 도입 등 회사 경영 전반에서 보안 최우선 전략을 추진할 계획이다.
통신 사업 전 영역에서 AI 기반으로 생산성과 효율성을 높이는 본원적 경쟁력 혁신(O/I)도 지속 추진해 갈 예정이다.
유 대표는 “지난 3년 간 AI컴퍼니로의 전환을 통해 에이닷 1천만 가입자 확보, 독자 AI파운데이션 모델 선정, 울산 AI DC 착수, 글로벌 파트너십 구축 등 다양한 성과를 확보하고 향후 도약을 위한 발판을 마련했다”며, “AI CIC를 중심으로 또 한 번의 AX를 이뤄 고객과 시장의 신뢰를 회복하고 글로벌 AI컴퍼니로 나아갈 것”이라고 밝혔다.
관련기사
- “카톡에서 챗GPT 쓴다”…카카오, 15년 만의 서비스 개편 단행
- 최신 AI기술 연구 성과·동향 공유…‘삼성 AI 포럼 2025’ 15일 개막
- 상반기 핀테크 투자액 급감…하반기 키워드는 ‘디지털자산’·‘에이전틱AI’
- 도쿄서 ‘K-AI 얼라이언스 글로벌 밋업’…SKT “日 K-AI 생태계 확장”
- AI시대 핵심 기술 공유…한컴, ‘2025 테크세미나’ 성료
- 정부·통신3사 AI 투자협력 선언식…3천억원 규모 자펀드 결성
- 에이전틱AI 성능 극대화…오라클, 글로벌 분산형 엑사데이터 DB 정식 출시
- “국내 기업 4곳 중 1곳은 에이전틱AI 도입했다”
- LGU+, 오픈AI와 ‘맞손’…에이전틱AI 컨택센터 개발 추진
- SKT 대규모 해킹 사태에 국민 77% “위약금 면제해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