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오토에버가 산업통상자원부 국가기술표준원 산하의 한국인정기구(KOLAS)가 인증하는 ‘도로차량 기능안전’ 분야 공인검사기관이 됐다.
KOLAS는 국제표준화기구(ISO/IEC)에서 정한 국제기준에 따라 특정 기관이 개별 산업 부문의 품질과 안전성, 프로세스 등을 검사할 역량이 있는지 심사한다. KOLAS로부터 공인검사기관으로 인정받은 기관의 검사 결과는 국내에서 공신력을 보장받는다.
현대오토에버가 공인검사기관으로 인정받은 영역은 ‘도로차량 기능안전(Road vehicles – Functional safety)’이다. 도로차량 기능안전은 차량 관련 전기·전자 시스템의 오작동이나 고장으로 인한 사고를 예방하는 것을 의미한다.
현대오토에버는 소프트웨어(SW) 개발, 하드웨어(HW) 개발, 시스템 등 도로차량 기능안전 관련 18개 세부지표를 전문적으로 평가할 수 있는 역량을 입증했다.
현대오토에버는 이번 선정을 계기로 자체 차량SW와 고객사를 대상으로 기능안전 검사 과제를 수행할 계획으로, 이를 통해 차량SW 개발 과정의 신뢰성과 효율성을 높일 방침이다.
이외에도 완성차와 자동차 부품사, 차량용 SW기업, 전장기업 등의 검사의뢰도 받아 정밀한 검사 서비스를 제공할 예정이다. 기존에 차량 관련 기능안전을 검증하기 위해서는 주로 해외 기관에 검사를 의뢰했다.
현대오토에버 SW플랫폼사업부장 류석문 전무는 “내실 있는 차량 기능안전 검사체계 구축을 기반으로 고객사에게 신뢰 높은 검증 서비스를 제공할 것”이라 밝혔다.
관련기사
- 누보톤 “고성능 AI MCU로 엔드포인트 AI 시장 잡는다”
- 퀄컴, GCP와 전장시스템·AI기술 고도화 협력 확대
- 웨이모, 로보택시 생산량 2배 늘린다…내년까지 2천대 추가 운용
- SK하이닉스, 메모리 업계 최초 완성차 정보보안 인증 ‘TISAX’ 획득
- LG마그나, TUV라인란드 ‘사이버보안 관리체계(CSMS)’ 인증 획득
- 제이엘티, 30억원 규모 시드 투자유치…기술 고도화에 집중
- 하만, 오디오 기술·플랫폼 기업 ‘룬’ 인수
- 솔루엠, 美 에피톤과 ‘AR HUD’ 개발 협력…전장사업 포트폴리오 강화
- “2030년 국내 판매차 100%에 커넥티드 기능 탑재”
- ETRI, 현실-가상 융합 지능형 도시 기술 ‘국제표준’ 기반 마련
김소현 기자
sohyun@itbiz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