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인터넷진흥원(KISA)은 백신 소프트웨어(SW)와 연계해 사용자 PC 내 취약 소프트웨어를 탐지하고 보안 취약점이 제거된 최신 버전의 소프트웨어로 업데이트를 안내하는 ‘보안 취약점 클리닝 서비스’를 17일 시작한다고 밝혔다.
이 서비스는 백신을 통해 취약 소프트웨어를 식별하고 취약점이 제거된 최신 소프트웨어로 신속히 업데이트할 수 있도록 사용자에게 공식 보안패치를 안내·지원하는 대국민 정보보호 서비스로, 올해 정부 추가경정예산을 통해 추진됐다.
추가 프로그램 설치 없이 기존 백신 사용자 PC에서 자동으로 제공되는 이 서비스는 총 4개 업계의 백신 프로그램으로 잉카인터넷의 ‘엔프로텍트 온라인 시큐리티’, 에스지에이 이피에스의 ‘바이러스체이서’, 엑소스피어랩스의 ‘엑소스피어’, 에브리존의 ‘터보클리너’ 등이다.
KISA는 시범 운영을 통해 도출된 개선 사항을 반영해 내년 1분기 정식서비스를 제공할 계획이다.
이동근 디지털위협대응본부장은 “이번 보안 취약점 클리닝 서비스는 전문지식이 없어도 일반 사용자가 손쉽게 보안 취약점을 해결할 수 있게 지원한다”며 “국민이 보다 적극적으로 사이버위협에 대응할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해 국가 전체의 정보보호 수준 향상에 기여할 것”이라고 말했다.
관련기사
- 랜섬웨어 탐지·차단 성능 강화…이스트시큐, ‘알약 3.0’ 정식 출시
- 올해 상반기 문자스팸 크게 줄었다…1년 새 74% 급감
- 정보보호 공시 기업 절반 이상 ‘수정공시’ 이행 요청 받았다
- 내년에 주목해야 할 기술 트렌드는 ‘다중에이전트’·‘AI보안’·‘피지컬AI’
- “MS센티넬, AI에이전트 기반 보안 플랫폼으로 진화”
- F5, ‘칼립소AI’ 인수…AI 가드레일 보안 강화
- 코헤시티 “아이덴티티·데이터 레질리언스로 사이버공격 대응력 향상”
- KT, 서버 침해 정황 발견…KISA에 신고
- 삼성 2025년형 로봇청소기, 과기정통부 IoT 보안 인증 ‘최고등급’ 획득
- 삼성, 갤럭시 스마트폰에 ‘보이스피싱 의심 전화 알림’ 기능 도입
김소현 기자
sohyun@itbiz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