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자·앱 병행 고지 발송, 공공·금융기관 디지털 업무 영역 확대 기여
SK텔레콤, KT, LG유플러스 등 통신3사는 패스(PASS) 앱을 기반으로 한 ‘PASS 전자고지’ 서비스를 출시한다고 18일 밝혔다.
PASS 전자고지 서비스는 건강검진표, 자격 변동 안내, 환급금 신청 안내 등 다양한 고지 문서를 PASS앱을 통해 안전하고 편리하게 확인할 수 있도록 지원하며, 향후 수백 종 이상의 종이 문서를 전자고지 형태로 발송할 수 있도록 구현할 계획이다.
PASS앱은 국내 3,800만 가입자가 이용하는 대표 인증·본인확인 플랫폼으로, 본인 명의 스마트폰을 통한 안전한 고지 송달이 가능하다. PASS 전자고지는 한국인터넷진흥원(KISA)으로부터 공식 인정받은 PASS인증서를 통해 안전한 전자서명을 제공한다.
PASS는 앱 메인 화면에서 전자고지 메뉴에 바로 접근할 수 있는 UI/UX를 적용해 사용자 편의성도 높였다. 전자고지 목록 화면에서는 각 문서의 열람 기한을 한눈에 확인할 수 있도록 안내하며 발송한 전자고지를 열람하지 않은 이용자에게는 추가 알림을 보내 중요한 안내문을 놓치지 않도록 구현했다.
PASS는 본인확인과 인증 서비스를 제공하는 앱 특성상, 이용자 다수가 정보성 푸시 알림을 항상 ‘ON’ 상태로 유지하기에 전자고지 열람률을 높일 것으로 기대된다. 실제로 PASS 기반 ‘국민비서’ 서비스의 필수 고지 문서 열람률은 약 55%에 달한다.
통신사 관계자는 “PASS 전자고지 출시를 통해 PASS가 공공 디지털 행정에서 중요한 역할을 수행할 수 있는 기반을 마련했다”며 “공인알림문자와 PASS 전자고지를 연계한 고지 채널 고도화를 통해 공공기관이 국민과 더 빠르고 안전하게 소통할 수 있도록 지원할 것”이라고 밝혔다.
관련기사
- 이동통신 서비스 해지 절차 여전히 불편…최근 4년 간 민원 352건
- 정부·통신3사 AI 투자협력 선언식…3천억원 규모 자펀드 결성
- 배경훈 장관 “AI기술 활용과 민·관 협력 통해 보이스피싱 근절”
- SGI서울보증보험, 전산 시스템 장애로 주요 서비스 중단
- 카카오, 국민연금공단 모바일 전자문서 서비스 시작
- 정부·통신사·문자사업자, 불법 스팸 대응 현황 공유
- [데스크칼럼] 네카오의 ‘서비스 구조조정’, IT생태계는 어떻게 되나
- 번호이동 경쟁 피하려 담합…공정위, 통신3사에 1,140억원 과징금 부과
- 무역·통관 등 수출입 전 과정에 ‘디지털 시험성적서’ 도입
- NIA, 코스타리카서 ‘디지털정부 포럼’…중남미 3개국과 협력안 논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