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T비즈뉴스 김소현 기자] KT가 정보통신산업진흥원(NIPA)의 ‘2020 핵심산업 클라우드 플래그쉽 프로젝트 지원사업’에 참여해 13개 기업을 대상으로 물류산업 SaaS 서비스 개발 및 사업화를 완료했다고 8일 밝혔다.
서비스형 크라우드인 ‘SaaS’는 클라우드를 기반으로 소프트웨어(SW)를 웹에서 사용하는 방식으로 이용하는 만큼 비용을 지불하는 방식이다. 초기 비용 없이 효율적인 이용이 장점으로 꼽힌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와 NIPA가 주관한 2020 핵심산업 클라우드 플래그쉽 프로젝트 지원사업은 국내 클라우드 산업 생태계 강화를 지원하기 위해 추진되며 ▲제조 ▲물류 ▲헬스케어 ▲교육 ▲비대면 복지 5개 분야의 기업을 선정, 지원한다.
이 사업에서 KT는 물류 분야의 클라우드서비스사업자(CSP)로 참여했다. KT는 컴퓨팅 자원, 네트워크 서비스 등 클라우드 인프라를 제공하는 것은 물론 기업별 SaaS 소개 브로슈어 제작, 자사 클라우드 포털을 통한 솔루션 홍보 등 사업화까지 지원했다.
KT의 지원기업 중 하나인 우림인포텍의 경우 도매시장 업무간소화를 돕는 ‘농산물 도매시장 유통물류 SaaS’를 사업화했다.
출하한 물품에 QR코드를 부착해 상품 주문부터 생산-포장-보관-하역-운송에 이르는 물류의 전 프로세스를 통합 관리할 수 있게 됐다. 전 과정은 관련인 모두에게 투명하게 공개된다.
KT IT부문 인프라서비스본부장 김승운 상무는 “지원사업을 통해 국내 대기업과 중소기업간 클라우드 서비스 협업 생태계를 성공적으로 마련했다“며 “최대 클라우드 사업자 위상에 맞게 대한민국 클라우드 역량을 높이고 기업간 협업 생태계 구축에 앞장서겠다”고 말했다.
관련기사
- Z세대·밀레니얼세대…신인류가 회사를 떠나는 이유 ②
- 2021년 사이버위협 트렌드…“협업·생산성 취약점 노린 공격 증가 예상”
- 퀄컴, 스마트시티 구현 위한 서비스형 IoT(IoTaaS) 플랫폼 공개
- 시스템통합(SI)과 디지털혁신(DT)의 간극, “지금은 IT 쇼핑의 시대” ②
- 네이버클라우드, 람다256과 공공분야 BaaS 개발-확산 ‘맞손’
- “IT, 이제 쇼핑하세요!”…구독형 SaaS 마켓플레이스, 국내 최초 오픈했다
- “상담업무도 스마트화”…SKT·AWS, 클라우드 컨택센터 서비스 상용화
- 효성인포메이션, 고성능 스케일아웃 ‘HNAS 5000’ 시리즈 발표
- KT, AI/DX 인재육성 가동…미래인재육성 프로젝트 2기 추진
- DT 성공을 위한 ‘디지털 플랫폼’, 어떻게 준비하고 있습니까? ②