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ource=pexels]
[source=pexels]

[IT비즈뉴스 한지선 기자] 지난해 코로나19로 재택·원격근무가 각 기업에 빠르게 도입되고 있는 가운데, 한국 직장인 10명 중 7명은 장기적인 원격근무에 긍정적 평가를 내렸다는 조사가 나왔다.

델테크놀로지스가 칸타(Kantar)와 함께 원격근무와 관련된 현황과 이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 요소를 조사한 내용을 담은 ‘원격근무 준비 지수(RWR)’ 보고서를 통해 이같이 밝혔다. 

보고서에 따르면, ‘원격근무’ 환경에 대한 거부감에 대한 세대 간 격차는 줄었으나 현 원격근무 상황에서 발생하는 문제점에 대한 지적은 세대별 차이가 있었다.

이번 설문에 응한 한국 직장인의 77%는 장기적인 원격 근무에 어느 정도 준비돼 있다고 답했으나 근무하는 회사에서 장기적으로 원격근무가 잘 운영될 것이라고 답한 응답자는 37%에 불과했다.

또한, ‘회사 측에서 원격근무를 위한 IT 기술을 지원했는가’라는 질문에 충분히 지원했다는 답변은 35%였다. ‘원격근무를 위해 적절한 인사(HR) 정책이나 프로그램을 마련했다’고 답한 비율은 더 적은 30%에 그쳤다.

장기적인 원격근무에서 우려하는 사항으로는 ‘사생활 간 경계선의 불분명성’이 36%를 차지하며 1위를 기록했다.

원격근무에 필요한 기술적인 문제에 관한 질문에 대해 응답자 27%는 ‘원격근무에 필요한 업무용 IT기기가 제대로 지급되지 않았거나 성능 및 기능 문제로 어려움을 겪었다’고 답했다.

응답자의 26%는 ‘화상회의 등 협업 및 커뮤니케이션 툴이 제대로 제공되지 않았거나, 사용법이 어려웠다’고 답했고 ‘내부 시스템에 원격으로 접속하거나 사용하는데 어려움이 있었다고 답한 비율도 25%를 차지했다.

한편 한국 직장인 10명 중 6명 이상(66%)은 ‘사회적 거리두기 시행 이전에 원격근무를 경험한 바 있다’고 답했지만 세대 간의 격차는 큰 것으로 조사됐다. 

Z세대(만18~23세)의 81%와 밀레니엄 세대(만24~34세)의 74%는 사회적 거리두기 이전에도 원격근무를 경험한 적이 있다고 답했으나 X세대(만35~54세)의 약 40%, 베이비붐세대(만55세 이상)의 약 50%는 이전에는 단 한 번도 원격근무를 경험한 적이 없다고 답했다.

성공적인 원격근무를 위해 가장 중요한 요소에 대한 질문에는 ‘회사 내부 시스템에 대한 접속 및 사용(42%)’을 첫 번째로 꼽았다. 이는 직원 수 500명~1000명 규모 조직(50%)에서 가장 높게 나타났다. 

세대별로 원격근무에 대해 느끼는 문제점도 달랐다. HR 관련 질문에서 Z세대(18~23세)는 ‘팀원간 협업 및 팀 프로젝트를 지원하는 프로그램의 부재(47%)’를 큰 문제로 지적했으나 X세대(35~54세, 48%) 및 베이비붐세대(55세 이상, 41%)는 ‘원격근무를 위해 새롭게 업데이트된 정책 및 가이드라인의 부재’를 가장 큰 문제로 봤다.

이번 조사는 한국을 비롯해 일본, 인도, 싱가포르, 호주, 인도네시아, 말레이시아 등 아태지역 및 일본(APJ) 지역 7개 국가에서 한국 직장인 1,023명을 포함, 총 7,192명을 대상으로 진행됐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ITBizNew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