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월 내 구축 마무리, 오픈랩 구축 등 산업 생태계 활성화

LG유플러스 컨소시엄이 구축하는 자율주행 빅데이터 관제센터 구축 및 운영 사업 시스템 개념 [사진=LG유플러스]
LG유플러스 컨소시엄이 구축하는 자율주행 빅데이터 관제센터 구축 및 운영 사업 시스템 개념 [사진=LG유플러스]

[IT비즈뉴스 최태우 기자] LG유플러스가 세종시 자율주행 빅데이터 관제센터 구축에 나선다. 올해 7월 내 구축을 마무리짓고 본격 운영에 들어갈 예정이다. 센터 내 오픈랩도 개소하고 자율차 생태계 확장에도 집중, 자율주행 상용화 준비에 박차를 가한다. 

LG유플러스는 31일 세종특별자치시의 ‘자율주행 빅데이터 관제센터 및 플랫폼 구축’ 사업자로 LG유플러스 컨소시엄이 선정됐다고 밝혔다. 

LG유플러스를 중심으로 에스트래픽, 펜타시스템테크놀로지, 싸인텔레콤, 바이브컴퍼니 등이 함께 참여하는 컨소시엄은 관제센터 구축과 운영을 담당하게 된다.

이 사업은 ‘자율주행 실증 규제자유특구’로 지정된 세종시에서 자율주행 실증 차량의 데이터를 수집-분석하고, 관제 컨트롤타워 구축과 향후 사업화를 목표로 추진된다.

LG유플러스는 빅데이터 기반의 관제센터를 구축한다. 자율주행 빅데이터 관제센터는 자율주행 실증차량의 운행, 인프라, 교통정보 데이터를 수집-분석한 뒤 이를 활용할 수 있도록 공유하는 빅데이터 플랫폼을 기반으로 구성되며 5G도 시범 적용한다.

관제센터에서는 세종시 자율주행 실증에 투입하는 차량에 대한 실시간 관제 및 현황 관리과 실증 테스트 관리, V2x 인프라 관리, 정밀지도(HD맵) 구축 및 관리 등 통합관제가 가능하도록 설계된다.

특히 LG유플러스는 이 사업에서 세종시 내에서 진행되는 자율주행 실증 환경의 다양화를 위해 기존 실증구간을 60km 범위까지 늘릴 수 있도록 정밀지도를 확대 적용한다는 계획이다. 고정밀 측위기술(RTK)도 시범 적용한다.

관제센터 내에는 오픈랩도 구축된다. 오픈랩에서는 빅데이터 플랫폼을 통해 수집-분석한 자율주행 관련된 빅데이터를 개방, 오픈API를 제공하는 등 중소기업이 자율주행 솔루션을 쉽게 개발하고 상용화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고 수준의 보안을 위해 양자내성암호 기술도 적용한다.

세종시 자율주행 빅데이터 관제센터 내 관제실 및 상황판 예상도 [사진=LG유플러스]
세종시 자율주행 빅데이터 관제센터 내 관제실 및 상황판 예상도 [사진=LG유플러스]

관제센터는 세종시 산학연 클러스터 지원센터에 구축된다. 7월까지 구축을 마무리짓고 안정화 기간을 거쳐 본격 운영에 들어간다.

LG유플러스 강종오 스마트시티사업담당 상무는 “LG유플러스의 자율주행 서비스 네트워크 기술 강점과 컨소시엄사의 C-ITS 수행 경험 등을 바탕으로 프로젝트를 성공적으로 수행할 것“이라며 “단순한 실증을 넘어 향후 자율주행 상용화, 스마트시티로의 확산을 앞당길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ITBizNew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