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양자암호통신 네트워크 품질 평가 기준’ 최초 공개
KT가 24일 한국과 중국, 일본 대표 연구기관과 양자암호통신 표준화 워크숍을 온라인으로 진행했다고 밝혔다.
이번 워크숍은 한국전자통신연구원(ETRI), 중국과학원(CAS), 일본정보통신연구기구(NICT), 국제전기통신연합(ITU) 한중일 의장단 등이 참여해 각 나라의 양자암호통신 관련 기술개발 현황을 발표했다.
KT는 자체 개발한 양자암호통신 기술을 국내 중소기업에 적용한 사례를 발표하고 ITU 표준화 중인 ‘양자암호통신 네트워크 품질 평가 기준’을 최초로 공개했다.
KT가 공개한 품질평가기준은 ‘응답지연(Response Delay)’, ‘지연변이(Jitter)’, ‘키 손실률’ 등으로 양자암호통신 네트워크 서비스의 품질을 평가하는 필수표준이다.
이 표준이 올해 말 ITU에서 완성되면 양자암호통신 네트워크 전용회선서비스, 양자키공급서비스의 SLA(Service Level Agreement) 기준이 될 것으로 전망된다.
이번 회의에서는 ITU, JTC1 SC27, ETSI에서 진행 중인 양자암호통신 국제표준 현황을 공유하고 향후 표준화 상호 간 협력방안에 대한 논의도 이뤄졌다.
KT 융합기술원 이종식 인프라연구소장은 “KT는 국내 양자암호통신 생태계 활성화와 국내 기술의 글로벌 시장 진출을 위해 많은 노력을 기울여 왔다”며 “이번 워크숍을 바탕으로 전문가들과의 유대를 강화하는 한편 국내외 표준 개발과 양자기술 경쟁 우위를 위해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관련기사
- SKT 투자전문기업, ‘SK스퀘어’로 11월 출범…“반도체 공격적 투자”
- KT, 양자암호 네트워크 자동관리 솔루션 ‘Q-SDN’ 개발
- 광주시·SKT, 양자 생태계 구현 ‘맞손’…양자기술 공급 MOU 체결
- 정부부처 개별통신망 통합 ‘국가융합망’ 본격 개통
- LGU+ 컨소시엄, 공공·민간 부문 ‘양자암호통신 시범 인프라’ 사업 수주
- SKT 주도 ‘SKB컨소시엄’, 다수 양자암호통신 시범구축 과제 수주
- 앱(App)에서 양자암호통신 구현…KT, ‘양자하이브리드’ 기술 개발
- 우티마코, 고성능 HSM 플랫폼 ‘유트러스트 앵커’ 공개
- KT 제안 ‘양자암호통신 상호운용 인터페이스’ 기술, TTA 표준 채택
- KT·포원솔루션, AI 기반 창문형 환기시스템 개발 ‘맞손’
김소현 기자
sohyun@itbiz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