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망서 POQ 첫 테스트, 양자통신 기술 범위 확대
SK텔레콤이 개발한 양자암호기술이 유럽전기통신표준화기구(ETSI)에서 산업표준으로 채택됐다.
SK텔레콤은 9일 자사가 제안한 ‘양자암호키분배(QKD) 기반 네트워크 통합관리규격 표준(ETSI GS QKD-018)’이 유럽전기통신표준화기구(ETSI) 산하 산업표준그룹에서 승인됐다고 밝혔다.
ETSI는 전세계 60여개 국가에서 900개 이상의 회원사가 참여해 유무선 통신, 전파, 방송, SW 등 ICT 전 분야를 포괄해 표준화하고 있다. ETSI 산하 조직인 ‘산업표준그룹(ISG) QKD’는 양자암호 관련 표준화를 선도하고 있다.
9일 SK텔레콤에 따르면 이번 제안해 승인된 표준은 양자암호통신을 제어하는 소프트웨어정의네트워크(SDN)를 통신사 전체 네트워크 통합 관리에 포함시키는 인터페이스(SDN Orchestration Interface) 표준이다.
이에 따라 통신사는 양자암호통신 네트워크를 도입할 때 복수의 장비사가 구성한 네트워크를 통합 관리하고 장비사 간 양자암호통신을 구현할 수 있게 된다. SK텔레콤은 이달 중 국가 선도시험망인 코렌(KOREN) 양자 시험망에서 실증을 완료할 예정이다.
이번에 ETSI에서 승인받은 QKD 표준화 방안을 포함한 양자암호통신 네트워크와 기존 통신 네트워크 간 연동기술은 이달 중 발간 예정인 ‘2021 GSMA 양자암호 백서’에도 포함될 예정이다.
백서에는 이밖에도 ▲양자암호와 기존 암호체계와의 연동 ▲양자 기술을 활용한 서비스 및 관련 표준화 동향 ▲양자암호 기술 개요 및 성숙도, 주요 적용사례 등도 게재된다.
SK텔레콤은 양자내성암호(PQC) 기반의 상용 서비스 테스트에 나서며 양자암호통신 기술 범위 확장에도 집중하고 있다. 미국표준기술연구소(NIST)에서 국제표준으로 검토 중인 PQC 후보 알고리즘들을 활용해 글로벌 VPN 서비스에 상용 테스트를 수행하고 내년께 상용화한다는 목표다.
SK텔레콤 하민용 Innovation suite장은 “이번에 승인된 양자암호통신 표준은 정부 국책사업에서 닦은 기술이 글로벌 표준이 된 사례”라며 “양자암호 활성화에 노력하고 국제표준화 활동도 지속 선도해 관련 생태계 조성에 힘쓰겠다”고 밝혔다.
관련기사
- KT, 11개 협력사 대상 글로벌 ICT 전시회 참여 지원
- KT, 양자암호통신 표준화 워크숍…한중일 대표기관과 논의
- 광주시·SKT, 양자 생태계 구현 ‘맞손’…양자기술 공급 MOU 체결
- LGU+, 양자내성암호 기술 공연분야 응용서비스에 적용 확대
- SKT 주도 ‘SKB컨소시엄’, 다수 양자암호통신 시범구축 과제 수주
- 양자암호통신 사업 확대하는 도시바, “2035년 시장 점유율 25% 확보”
- 한화시스템, NIA ‘양자암호통신 시범 인프라 구축’ 사업 참여…기술력 확보
- KT-LGU+, 양자암호통신 네트워크 기술 국제표준화 승인
- KT, 고속 양자암호키 생성·분배기술 독자 개발…상용화 추진
- SKT, 전자서명인증사업자 인증 획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