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전자통신연구원(ETRI)이 국민에게 재난정보를 신속하고 정확하게 전달하기 위한 차세대 통합 예·경보 플랫폼과 양방향 멀티미디어 정보 공유를 위한 현장맞춤형 상황전파 플랫폼을 개발했다고 15일 밝혔다.
현재 재난 상황이 발생하면, 재난관리 담당자가 방송, 문자, 라디오 등을 통해 국민들에게 상황을 전파하고 있다. 하지만 예·경보 시스템이 중앙정부와 지자체별로 별도 운영되고 매체별 관리기관과 제조사도 달라 호환성 문제가 존재했으며, 이로 인해 신속하고 정확한 재난정보전달에 어려움이 있었다.
또 현장 소통도 관제센터와 현장 대응 요원 사이의 소통은 무전기, 문자 등으로만 이뤄져 현장 상황을 말로만 전해야 하고, 양방향 동시 전달에도 한계가 존재했다. 재난 상황에 대한 신속하고 효율적으로 대응을 어렵게 하는 요인들이다.
ETRI가 개발한 차세대 통합 예·경보 플랫폼은 여러 매체에 멀티미디어 정보를 한 번에 전달할 수 있게 해 재난 상황 전달의 효율성을 높이는 데 주력했다.
5G와 UHD를 지원하는 ITU-T 표준을 적용한 통합 게이트웨이를 개발해 시스템 호환 문제를 해결하고 재해 문자, 마을 방송, 버스 전광판 등 서로 다른 곳에 클릭 한 번으로 적절한 안내가 자동 전송될 수 있게 했다. 또 5개국 언어로 번역된 재난정보를 제공도 가능하다.
이렇게 개발된 통합 예·경보 플랫폼은 대전, 일산, 청주, 아산, 태백, 제주 등에서 1년간 현장에 적용해 기술검증을 마쳤다. 현재 실질적인 확산을 위해 지자체 예·경보시스템 제조사들이 다수 속해 있는 한국방송통신산업협동조합에 무상으로 기술 이전돼 약 7억5000만원의 사업화 추산 가치를 창출하고, KISTEP으로부터 사회문제 해결형 우수성과 과제로 선정됐다.
현장맞춤형 상황전파 플랫폼 기술은 새로이 구축된 국가재난안전통신망(PS-LTE)을 활용하여 재난관리 상황실, 유관 기관, 현장 사이에서 소통을 돕는 기술로, 재난이 발생 시 수집된 종합 정보를 바탕으로 인근 요원들을 자동으로 대응반을 구성하고 단체 대화방도 개설된다.
연구진은 새로운 구축망에서도 원활한 통신이 이뤄질 수 있도록 설비와 장치에 들어가는 SW 및 PS-LTE 전용 앱을 개발하고 국내 최초로 한국정보사회화진흥원(NIA) 본망 테스트를 완료하면서 기술력도 입증했다.
과기정통부 관계자는 “5G, UHD 등 신규 매체와 PS-LTE 같은 신규 인프라를 활용하여 일반 국민과 재난관리 담당자가 신속·정확하고 효율적인 재난대응을 통해 재난으로부터 대국민 안전권 확보에 일조할 수 있을 것이다.”라고 밝혔다.
ETRI 정우석 재난안전지능화융합센터장도 “재난정보전달과 상황전파 체계를 함께 구축하면서 신속하고 정확한 구난 체계를 갖출 수 있었다. 연구 결과물은 행정안전부와 협의를 통해 성과를 더욱 확산할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밝혔다.
이번 기술은 과기정통부의 지원하는 ‘재난안전플랫폼기술개발사업’의 일환으로 개발됐으며, KBS, KT, 케이아이티밸리, 위니텍 등 산학연 공동연구로 개발됐다.
향후 지자체 예·경보시스템 제조회사들에게 가이드라인을 배포하고 상용화를 지원하는 한편, 정부 부처와 시스템 적용 확산을 위해 협력하면서 기술이 실질적으로 쓰일 수 있도록 지원할 계획이다.
관련기사
- ETRI, AI의료기기 성능평가 국제표준화 개발 시동
- ETRI, 실시간 스트리밍 기술 국제표준 제정
- 가상환경서 대규모 드론 시험 가능…ETRI, 시뮬레이터 개발
- ETRI AI 오픈API, 누적 활용 5,400만건 돌파
- ETRI, 포스텍·클랩과 고성능 지문인식 센서 개발
- 메가존, ETRI와 멀티클라우드 기술 사업화 ‘맞손
- ETRI, 5G 단독모드(SA) 스몰셀 SW 개발…스몰셀 장비 국산화 기대
- 39개 공공기관 내년도 R&D 부문에 1조4883억 투자 전망
- ETRI, 오픈체인 ISO 인증 획득…ETRI 개발SW 신뢰성 향상
- 과출협, 중촌사회복지관에 성금 전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