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전자통신연구원(ETRI)은 유럽연합(EU)과 국제공동연구를 통해 5G 서비스 영역을 확장할 수 있는 인프라 기술을 개발했다고 6일 밝혔다. 이 기술이 상용화되면 통신 인프라가 부족한 오지·해상 지역이나 재난 상황에서도 끊김 없는 통신 서비스가 가능하게 된다.
ETRI는 5G-위성 다중연결망을 구축해 ETRI와 프랑스 전자정보기술연구소(CEA-Leti)간 5G 서비스 시연에 성공했다. 5G-위성 다중연결망은 5G 통신망과 위성통신망을 함께 활용하는 네트워크 기술이다.
위성은 매우 높은 고도에서 지상의 허브와 사용자 사이를 연결하므로 5G 통신망에 비해 서비스 커버리지를 크게 확장할 수 있다.
즉 5G 통신 서비스를 이용하다가 기지국이 없거나 부족한 지역에서는 위성을 통해 통신 서비스를 유지할 수 있어 서비스 범위가 크게 늘어나 음영지역 해소와 서비스 연속성을 높일 수 있다. .
ETRI는 유럽연합(EU)과 3년간 국제공동연구를 통해 5G-위성 다중연결망 테스트베드를 구축했으며, 통신 서비스 영역 확대에 대한 개념검증 시연을 추진했다.
연구진은 차량에 5G 통신단말과 위성통신 단말, 그리고 서로 다른 통신시스템간 원활한 연결을 돕는 트래픽 컨트롤러를 설치하고, 2개의 5G-위성 다중연결망을 대륙간 연결해 8K 비디오 스트리밍, VR 게임, 360도 실시간 웹캠 등의 5G 서비스가 가능함을 입증했다.
ETRI 방승찬 통신미디어연구소장은 “이번 국제공동연구를 통해 한국, 프랑스, 독일, 이탈리아 등에서 다수의 연구진이 참여해 5G 서비스 영역이 기존 지상 통신에서 위성 분야로까지 확대되는 것을 체감하는 계기가 됐다”고 밝혔다.
향후 연구진은 시연 결과를 바탕으로 위성통신을 결합한 차세대 통신시스템을 고도화하고, 이를 이용한 5G 서비스를 발굴하기 위한 후속 연구를 준비한다는 계획이다.
관련기사
- ETRI, ‘2022년 국제연구소 원년’ 선포…연구·경영계획 발표
- ETRI, 촉각음정시스템 적용한 청각장애인 공연 기술 개발
- ETRI, 노·사 공동 나눔성금 기부
- ETRI, 메모리 중심 컴퓨팅으로 유전체 분석시간 단축
- ETRI, 오픈체인 ISO 인증 획득…ETRI 개발SW 신뢰성 향상
- 200km 밖에서 시스템 제어…ETRI 원격 제어 스마트공장 기술 개발
- 재난정보 전달도 5G로 업그레이드…ETRI, 예·경보 플랫폼 개발
- ETRI, AI의료기기 성능평가 국제표준화 개발 시동
- ETRI, 11일 ‘통신·미디어 성과발표회’…미래 통신·미디어 조망
- 삼성·고려대, 통신분야 인재육성 ‘맞손’…채용연계형 ‘차세대통신학과’ 신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