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소벤처기업부가 올해 중소기업 기술거래 활성화 지원 사업계획을 확정하고 기술거래‧사업화 전담기관인 기술보증기금을 통한 지원계획을 공고했다.
이 사업은 중소기업이 기술거래시장의 핵심주체로 활발히 활동하고 있지만 중소기업 기술거래‧사업화 전담기관과 사업지원을 위한 법률 부재로 개방형 기술혁신의 우수 중소기업 육성에 한계를 극복하고자 중소기업 기술혁신 촉진법을 개정해 마련한 중기부 최초의 중소기업 맞춤형 기술거래·사업화 지원을 목표로 추진된다.
중소기업 기술거래 활성화 지원 사업은 국내 중소기업의 기술거래를 활성화하기 위한 기술거래 기반조성과 외부 도입기술의 사업화 성공률을 높이기 위한 통합지원 프로그램의 세부 사업으로 구성된다. 올해 예산은 46억6000만원이다.
중소기업의 기술‧사업화 수요를 포함하는 기술수요제안서 및 대학‧공공연이 보유한 우수 기술의 정보 직관성과 시장성을 높인 고도화 된 기술마케팅정보 제작을 지원한다.
기술수요제안서 및 기술마케팅정보 제작을 통해 기술거래 시장 내 진성 수요·공급 정보를 확대해 중소기업이 기술거래 단계부터 사업화에 적합한 우수기술을 손쉽게 탐색하고 도입할 수 있도록 지원할 계획이다.
중소기업 기술거래 플랫폼(테크브릿지)에 인공지능(AI) 검색엔진과 블록체인 기반의 온라인 계약시스템을 도입하고 특허 외 국가기술개발 및 범부처 기술사업화 지원정보 등 빅데이터를 처리할 수 있도록 시스템 고도화도 지원한다.
기술거래 플랫폼 고도화를 통해 연내부터 중소기업은 성장단계별로 맞춤형 기술을 추천받고, 우수기술 보유 기업·연구자와 플랫폼를 통해 쉽고 빠르게 소통할 수 있는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게 된다.
우수 기술거래의 경우 중소기업의 비용부담을 완화하고 민간 기술거래, 가치평가 기관의 수익성을 개선하기 위해 소요된 중개수수료 및 기술가치 평가비용을 지원한다.
통합지원 프로그램에 선정된 중소기업은 사업화까지 금전적 문제로 중도에 포기하지 않도록 기술보증기금을 통해 소요자금 마련을 위한 IP 보증연계 및 이차보전 등 다양한 금융혜택도 지원받을 수 있다.
중소기업 기술거래 활성화 지원 사업에 참여를 희망하는 중소기업, 대학‧공공연 등은 기술보증기금의 테크-브릿지 기술거래 플랫폼을 통해 접수할 수 있으며 기술거래통합지원추진단을 통해 자세한 내용을 확인할 수 있다.
관련기사
- 중기부, 대-스타 해결사 플랫폼 첫 테마 3개 과제 시작
- “지난해 전체 창업, 부동산업 제외 5만3775건 증가”
- 산업부, 대·중소기업 ESG 협력네트워크 포럼 출범
- 소재·부품 기술 경쟁력 강화…정부, R&D 예산 8,410억 편성
- 중기부, 디지털전환·탄소중립 등 中企 R&D 유망품목 발표
- 정부, ‘미래차 경쟁력 확보’ 팔 걷는다…DT 고도화 추진전략 발표
- 하나은행, 서울옥션과 아트뱅킹·아트서비스 제공 협력 MOU 체결
- 산업계 디지털전환(DT) 지원 확대…산업부, 전담 추진단 출범
- 산업디지털전환촉진법 시행…정부, 디지털전환 정책 본격화
- ETRI, 기술사업화 전문 매거진 ‘테크비즈인사이트’ 창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