뷰노는 11일 인공지능(AI) 기반 폐 컴퓨터단층촬영(CT) 정량화 솔루션인 뷰노메드 렁퀀트(VUNO Med-LungQuant)가 식품의약품안전처 인증을 받았다고 밝혔다.
뷰노메드 렁퀀트는 AI를 기반으로 폐 CT영상을 자동 분석해 이미지의 특징적인 영역을 분할하고, 영역별 시각화 및 정량화 정보를 제공하는 솔루션이다. 의료진이 폐 질환 종류와 심각도를 판단하는 데 도움을 준다.
제품의 허가사항에 따르면 해당 솔루션과 흉부영상의학과 전문의와의 폐 CT영상 내 관심영역표시 일치도는 90% 이상이다.
뷰노는 창업 초기부터 참여한 과학기술정보통신부의 글로벌SW전문기업육성사업을 통해 이 솔루션의 원천기술을 개발했다.
지난 2020년 초 코로나19가 확산됨에 따라 감염 환자의 폐 CT에서 간유리(Ground Glass Opacity), 경화(Consolidation) 등 이상 소견이 나타난다는 것이 알려지면서, CT 영상 기반 스크리닝이나 경과 관찰에 대한 필요성이 높아졌다.
뷰노는 기존 폐질환에 대한 정밀 분석·진단을 목적으로 개발한 원천기술을 당시 새롭게 등장한 감염병의 정량화를 위해 최적화하고 빠른 진단을 위해 폐영역별 세부 분석 및 시각화 기능을 추가해 해당 솔루션의 개발을 완료했다고 설명했다.
이예하 뷰노 대표는 “뷰노메드 렁퀀트는 국가사업의 지원을 받아 개발돼 호흡기 감염병의 선별과 경과 관찰을 돕는 효과적인 툴로써 임상적 유효성을 입증해 이번 인증을 획득했다”며 “인증 획득을 계기로 해당 솔루션이 많은 의료현장에서 바쁜 의료진의 부담을 덜고, 부족한 의료자원에 보탬이 되기를 기대한다”고 말했다.
관련기사
- KT, 러시아 의료법인 메드시와 한국형 건강검진센터 구축 ‘맞손’
- 뷰노, 美 하버드 의대 매사추세츠 종합병원과 임상연구 계약 체결
- 이에이트, “엔플로우 솔버 경쟁력, 의료·바이오 영역으로 확장”
- SK C&C AI 뇌출혈 판독 솔루션, 평창군보건의료원에 첫 도입
- 이에이트, 기술고문에 심혈관 수술 권위자 김중선 교수 위촉
- 루닛, 720억 규모 프리IPO…이달 중 상장 예비심사청구 진행
- KT, MICCAI 의료AI 경진대회서 1위…의료 영상 AI기술력 입증
- MS, 클라우드·협업·혼합현실 기술로 의료혁신 지원 가속화
- KT, 감염병 대응연구 앱 ‘샤인(SHINE)’ 코로나19로 연구범위 확대
- SK바사 ‘코로나백신’ 허가…“35년 바이오 투자 결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