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카오엔터프라이즈는 자체 개발한 자연어처리 AI모델로 한국어 기계독해 데이터셋 ‘KorQuAD 2.0’ 성능 평가에서 1위를 차지했다고 밝혔다.
KorQuAD는 오픈소스로 공개된 대규모 한국어 질의응답 데이터셋으로 평가는 추출한 내용을 질문으로 제시하고, 이에 대해 AI 모델이 정확한 답을 찾아내는 방식으로 진행된다.
카카오엔터프라이즈의 자연어처리 모델 '리틀버드-라지’는 정확도 90.22점을 기록하며 1위에 올랐다. 처리 속도도 기존 1위 모델 대비 약 1.7배 빠른 수치를 기록했다. 모델 사이즈를 최적화해 추론 속도를 높이고 실용성을 높인 ‘리틀버드-베이스’ 모델은 정확도 88.57점으로 6위를 기록했다.
카카오엔터프라이즈는 이 모델을 지속적으로 고도화해 검색, 챗봇을 비롯해 AI 컨택센터인 ‘카카오i 커넥트센터’에 적용할 예정이다. 이를 카카오i 커넥트센터에 적용하면 AI상담사가 해당 기계독해 모델을 적용한 지식 검색 시스템을 활용해 고객의 질의나 요청에 대해 한층 정확한 답변을 제공할 수 있게 된다.
카카오엔터프라이즈 최동진 AI랩&서비스장은 “기계독해는 문서를 단순히 이해하는 것을 넘어 분석과 추론을 통해 최적화된 답을 제공하는 기술로, AI를 활용한 실서비스를 고도화하는데 직접적인 영향을 끼친다"며 “카카오엔터프라이즈는 앞으로 자연어처리는 물론 비전, 음성 등 다양한 영역에서 연구 역량을 강화해 나갈 것”이라고 밝혔다.
관련기사
- 딥러닝(DL)을 통한 한글 문장의 감성분석은 어떻게 이뤄지나 ②
- 딥러닝(DL)을 통한 한글 문장의 감성분석은 어떻게 이뤄지나 ①
- 산업부, 국가표준기술력향상사업 신규과제 58개 발굴…403억 투입
- LG AI연구원, 초거대 AI '엑사원' 고도화에 GCP 클라우드 TPU 도입
- 네이버 클로바, 올해 글로벌 AI학회에서 정규 논문 66건 발표
- 카카오엔터, 글로벌 AI 챌린지에서 2개 대회에서 1위 달성
- 코어에이아이, 엔비디아와 대화형 AI 플랫폼 개발 협력
- GCP, 카카오브레인에 클라우드 TPU 공급…AI 언어모델 개발 지원
- 코어에이아이, AI 기반 서비스형 컨택센터 솔루션 출시
- 카카오, 서울시와 ‘서울아레나 복합문화시설 민간투자사업’ 실시협약 체결
오현식 기자
hyun@itbiz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