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수위에 ‘청정에너지 산업 활성화 20대 과제’ 건의
지난달 안철수 대통령직인수위원회 위원장이 새정부의 ESG경영 확산을 약속한 가운데 전경련이 인수위에 청정에너지 산업 활성화를 위한 20대 과제를 제출했다.
전국경제인연합회는 수소, 원자력, 태양광·풍력 등 청정에너지 산업 활성화 과제를 대통령직 인수위원회에 건의했다고 3일 밝혔다.
주요 기업들의 의견을 수렴해 건의한 이번 과제는 ▲민·관 참여형 클린에너지 씨티 조성 ▲수소법 조속 통과 ▲수소경제 이행에 대한 새 정부의 의지 표명 ▲청정에너지 인프라 구축 및 지원메커니즘 마련 ▲발전사업 인허가 원스톱 서비스 마련 등 총 20건을 포함하고 있다.
태양광·풍력, 수소, 원자력 관련 14개 기업의 청정에너지 발전 투자규모는 최장 10년 동안 약 20조2000억원으로 집계됐다.
사업 추진에 있어 애로사항은 ▲설비투자 등 사업구조 전환비용 부담(39.3%) ▲에너지 분야 사업성 부족(30.3%) ▲기술 확보 미흡(15.2%) 순이었다. 차기 정부에 바라는 시급한 지원책은 ▲에너지 분야 규제 완화와 투자기업에 대한 지원 입법 마련(38.2%) ▲R&D 예산 등 금융지원 확대(23.5%) ▲세액공제 등 조세지원 확대(17.6%) 순이었다.
전경련은 민·관 합동 클린에너지 씨티 조성을 제안했다. 재생에너지 등 발전사업을 추진할 때 이해관계자 간 대립으로 좌초되는 경우가 많아 중앙정부와 지자체, 민간기업 컨소시움을 구성해 문제를 해결하자는 게 전경련의 주장이다.
일본 기타큐슈 수소타운 프로젝트 등을 벤치마킹해 지역별로 태양광·풍력·수소·원자력 등에 특화된 클린에너지 씨티를 추진하자는 것으로, 이 프로젝트가 새 정부가 지향하는 국토균형발전에도 기여할 것이라고 전경련은 설명했다.
수소경제 이행 등 청정에너지 산업 활성화에 대해 새 정부가 의지를 표명해 해당 분야 투자(예정)기업에 확신을 심어줘야 한다는 의견도 나왔다. 현재 수소법 개정 및 관련 정책 구체화가 지연되는 등 향후 산업 불확실성에 대한 우려가 계속 제기되는 등 협력업체로 불안감이 확산되고 있다.
전경련은 “청정에너지 탑3 기술강국 실현을 위해서도 기본법 확립 등 인프라가 조속히 확립돼야 한다”고 주장했다.
관련기사
- “2040년 1,800조 시장”…韓 UAM 기술 수준, 선진국 60~70% 불과
- 카카오·서울대, 친환경 데이터센터 조성 ‘맞손’…2026년 준공
- 네이버, 사업·ESG 성과 담은 ‘2021 통합보고서’ 발간
- 자동차 등록대수 2,500만대 돌파…“친환경차 등록 대수는 5%”
- SKT, 모바일 전자청구서 ‘빌레터’로 나무 7만7000그루 심었다
- KB국민은행, KOTRA와 中企 탄소중립 지원…MOU 체결
- “북미에서 총 200GWh 생산량 확보”…LG엔솔, 6조5000억 들여 신공장 증설
- 산업부, 글로벌 기술사업화 프로그램 접수…내달 31일까지
- KB국민은행, KB모바일브랜치 모바일 서비스 고도화 완료
- 하나금융, ‘청라 상생형 하나금융 공동 직장어린이집’ 개원